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크 코윤루

다른 표기 언어 Ak Koyunlu 동의어 백양왕조, 白羊王朝

요약 1378~1508년 북부 이라크, 아제르바이잔, 동부 아나톨리아를 지배한 투르크멘 부족연맹.
Aq Qoyunlu라고도 씀.

비잔틴 연대기에 따르면 아크 코윤루는 적어도 1340년부터 동부 아나톨리아에 존재했다고 한다. 왕조의 창건자 카라 오스만(1378~1435 재위)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아크 코윤루 지도자들은 비잔틴의 공주들과 결혼했다.

1402년 카라 오스만은 투르크 통치자 티무르로부터 북부 이라크의 디야르바크르 전지역을 양도받았다. 적대적인 투르크멘 부족연맹인 카라코윤루('검은 양'이라는 뜻)의 강력한 존재 때문에 서부 이란과 아제르바이잔 지역에서 영토 확장이 잠시 동안 저지되었지만 우준 하산(1452~78) 시기에 아크 코윤루는 새로운 팽창기를 맞았다.

1467년에는 카라 코윤루의 지한 샤를, 1468년에는 티무르 제국의 아부 사이드를 격파한 뒤 우준 하산은 바그다드, 페르시아 만 연안, 그리고 멀리 동쪽으로 호라산과 같은 이란 지역까지 장악했다. 이와 동시에 오스만 투르크가 아나톨리아 동쪽으로 진격하면서(1466~68) 아크 코윤루의 영토를 위협하자 우준 하산은 중앙 아나톨리아의 카라마니아와 동맹을 맺었다. 아크 코윤루는 오스만 투르크의 공격이 불가피함을 알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오스만 투르크의 적인 베네치아와 이미 1464년 손잡은 바가 있었다. 그러나 군사적 지원을 다짐했던 베네치아가 한 번도 군대를 파견하지 않았고 우준 하산은 1473년 테르칸(지금의 마마하툰)에서 오스만에 패했다.

야쿠브(1478~90 재위)가 일정 기간 왕조를 유지했지만 그가 죽자 아크 코윤루는 내부 파쟁으로 분열하여 보다 강력한 주변 나라들에 아무런 위협도 되지 못했다. 시아파 이슬람교도인 이란의 사파위 왕조가 대부분 수니파였던 아크 코윤루의 일부 부족들을 잠식해 들어왔다. 두 세력은 1501~02년 나히체반 부근에서 전쟁을 벌였고 아크 코윤루의 알완드는 이스마일 1세에게 졌다. 사파위 군대에 패주하던 도중에 알완드는 마르딘 지방에 위치한 아크 코윤루의 자치국 디야르바크르를 파괴했다(1503).

아크 코윤루의 마지막 통치자 무라드는 1497년부터 자신의 형제들인 알완드, 무하마드와 권력싸움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스마일에게 패했다(1503). 무라드는 1508년까지 바그다드를 잠시 차지했으나, 그가 디야르바크르로 퇴각하자 아크 코윤루 왕조는 멸망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크 코윤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