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스비외른센과 모에

다른 표기 언어 Peter Christen Asbjørnsen and Jørgen Engebretsen Moe

요약 노르웨이의 민담수집가들.

공동 저서 〈노르웨이 민화 Norske folkeeventyr〉노르웨이 문학사의 이정표가 되어 노르웨이어에 영향을 미쳤다.

일상생활과 작업에서 서로 아주 가까운 사이였으므로 이 두 사람의 이름은 항상 함께 언급되었다. 이들은 젊은시절에 만나 '의형제'를 맺었다(1827).

유리수공업자의 아들이었던 아스비외른센은 20세에 노르웨이 동부 지방에서 가정교사 일을 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민담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한편 부유하고 고등교육을 받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모에는 크리스티아니아에 있는 프레데리크왕립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1839년 졸업했으나 종교에 대한 회의를 느껴 성직자의 길을 거부했으며, 그 역시 가정교사가 되었고 휴일이면 노르웨이 남부지방에서 민담을 수집하며 시간을 보냈다. 그동안 아스비외른센은 자연주의자가 되어 피오르드를 따라 조사활동을 하면서 계속 민담을 채집했다.

두 사람은 서로 모은 자료들을 한데 모아 책을 내기로 결정했다. 당시 노르웨이 문어체는 덴마크 문어체와 너무 흡사하여 노르웨이 고유의 민담을 적기에는 적당하지 않았고, 구전작가들이 사용했던 다양한 방언들도 지방색이 너무 짙어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없었다.

아스비외른센과 모에는 민담의 전통 형태를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방언 대신에 단순한 언어를 사용하자는 그림 형제의 원칙을 받아들여 이러한 문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했다. 초기에 수집한 민담의 일부는 일찍이 1837년 〈노르웨이 Nor〉에 실렸고, 나머지는 〈노르웨이 민화〉(1841)로 출판되었다. 또한 1842, 1843, 1844년 3차례에 걸쳐 민담을 추가하고 삽화를 넣어 증보판을 냈으며, 1852년에는 비평을 곁들여 출판했다.

유럽 각국에서 비교신화학에 중요한 공헌을 한 것으로 인정된 〈노르웨이 민화〉는 여러 나라 말로 번역되었는데, 1859년 첫 영어판이 나온 이래 20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번역판이 나왔다. 또한 이 작품의 문체는 노르웨이 문체의 본보기로서 현대 노르웨이 문어인 '보크몰'(Bokmål)의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1856년 아스비외른센은 삼림 전문가가 되어 삼림 보존 방법에 관해 연구했다. 또한 동화집 〈노르웨이의 동화와 민간전설 Norske huldreeventyr og folkesagn〉(1845~48)을 발표했고 다윈의 〈종의 기원 Origin of Species〉(1860)을 번역했다. 모에는 〈시 Digte〉(1850)로 노르웨이 최고의 낭만주의 시인이 되었으며 어린이를 위한 〈우물과 연못 속에서 I brønden og i Kjoernet〉(1851)를 발표했다. 종교적인 위기를 겪은 뒤 1853년 사제 서품을 받았고 1875년 크리스티안산의 주교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론인

언론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아스비외른센과 모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