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서

다른 표기 언어 Arthur

요약 브리튼 지방을 소재로 한 중세 로맨스에서 원탁의 기사들을 다스리는 왕으로 나온다. 9세기 넨니우스의 <브리튼 역사>에 따르면, 아서는 색슨족에 저항해서 12번의 전쟁을 치렀으며 몬스 바도니쿠스에서 가장 큰 승리를 거두었다고 한다. <웨일스 연대기>에는 몬스 바도니쿠스에서의 승리와 아서가 패배한 캄란 전투에 대한 기록이 실려 있다. R.G. 콜링우드가 <로마령 브리튼과 영국 민족의 정착>에서 제기한 견해에 따르면, 아서는 영국 왕들을 받들어 로마군에서 훈련된 기마대를 지휘하는 직업군인으로서 색슨족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여기저기에서 전쟁을 수행했다고 한다. 그러나 초기 웨일스 문학은 아서를 신비와 경이의 왕으로 만들었다. 12세기의 산문 로맨스인 <쿨후흐와 올루엔>에는 그를 다른 영웅들과 결부시키고 있다.

아서(Arthur)

중세의 사료들과 무훈시, 기사문학에 언급되는 브리튼족 켈트인들의 전설적인 군주이다.

ⓒ Daderot/wikipedia | Public Domain

브리튼 지방을 소재로 한 일련의 중세 로맨스에서 원탁의 기사들을 다스리는 왕으로 나온다. 이러한 전설들이 어떻게, 어디에서(웨일스 지방인지 또는 브리튼어를 쓰는 켈트족이 거주한 북부 브리튼인지 확실하지 않음) 유래했는지, 그리고 그가 역사상의 실제 인물이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아서가 역사상의 인물로서 웨일스인들을 이끌어 템스 강 중류에서 전진해오는 서부 색슨족에게 저항했다는 가설은 2명의 초기 연대기작가인 길다스와 넨니우스의 주장을 합친 자료와 10세기 후반의 〈웨일스 연대기 Annales Cambriae〉에 근거를 두고 있다.

9세기 넨니우스의 〈브리튼 역사 Historia Britonum〉에 따르면, 아서는 색슨족에 저항해서 12번의 전쟁을 치렀으며 몬스 바도니쿠스에서 가장 큰 승리를 거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작품에 나오는 아서에 대한 기록은 출전이 불확실하고 아마도 시(詩) 작품에서 옮긴 것으로 보인다.

〈웨일스 연대기〉에는 몬스 바도니쿠스에서의 승리(516)와 '아서와 메드럿이 패배한' 캄란 전투에 대한 기록이 실려 있다. 길다스의 〈브리튼 파멸과 정복 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6세기 중엽)에는 500년경에 몬스 바도니쿠스 전투가 있었다고는 하나 아서와는 결부시키지 않고 있다. R.G.콜링우드가 〈로마령 브리튼과 영국 민족의 정착 Roman Britain and the English Settlements〉(1936)에서 제기한 또다른 견해에 따르면, 아서는 영국 왕들을 받들어 로마군에서 훈련된 기마대를 지휘하는 직업군인으로서 색슨족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여기저기에서 전쟁을 수행했다고 한다.

그러나 초기 웨일스 문학은 아서를 신비와 경이의 왕으로 만들었다. 12세기의 산문 로맨스인 〈쿨후흐와 올루엔 Culhwch and Olwen〉에는 그를 다른 영웅들과 결부시키고 있는데, 아서를 우두머리로 하는 영웅군단의 개념이 필경 아서의 궁정이라는 개념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아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