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온도가 화학반응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수학적으로 나타낸 식.
반응속도상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하는 모든 식의 기초가 된다. 아레니우스 식에서 k는 반응속도상수이고, A와 E는 반응물에 따른 고유한 수치상수이며, R는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식은 보통 아래와 같이 지수함수 형태로 나타낸다.
k=Aexp (-E/RT)
이 식으로부터 반응온도가 조금만 증가하더라도 반응속도상수는 현저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아레니우스 식은 원래 J. J. 후드가 온도에 따른 몇 가지 반응속도상수의 변화를 연구하여 이를 토대로 공식화했으나, 스웨덴의 화학자 스반테 아레니우스가 거의 모든 종류의 반응에 이 관계를 적용시킬 수 있음을 보이고 난 뒤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그는 또 이 식으로부터 유추하여 열역학적 평형상수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그후 화학반응에 관한 충돌과 전이상태이론(轉移狀態理論)을 통하여 수치상수 A와 E가 화학반응의 기본과정을 나타내주는 양임이 밝혀졌다. 즉 E는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내고, A는 원자와 분자가 반응하도록 하는 분자간 충돌 빈도를 나타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화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