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튀르키예 중남부 아다나 주, 세이한 강 하구 실리지아 평원 |
---|---|
인구 | 1,857,000명 (2024년 추계) |
면적 | 1,945㎢ |
언어 | 튀르크어 |
대륙 | 중동 |
국가 | 튀르키예 |
요약 튀르키예 중남부에 있는 도시. 고대에 사루스 강으로 알려졌던 세이한 강변 실리지아 평원에 자리잡고 있다. 농업과 공업의 중심지이자 튀르키예에서 4번째로 큰 도시로서 BC 1400년경부터 있었던 히타이트 정착지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BC 335~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당했으며 7세기말 아바스 왕조의 아랍인들에게 지배를 받게 되었고 그후 600년 동안 통치자가 바뀌다가 1378년에 투르크멘족의 라마잔 왕조가 들어섰다. 라마잔 통치자들은 1516년 오스만 제국의 군주 셀림 1세에게 정복당한 이후까지도 이 지역을 지배했다. 튀르키예 면직공업 중심지이며 직물·시멘트·농기계·식물성기름을 제조한다.
고대에 사루스 강으로 알려졌던 세이한 강변 실리지아 평원에 자리잡고 있다. 농업과 공업의 중심지이자 튀르키예에서 4번째로 큰 도시로서 BC 1400년경부터 있었던 히타이트 정착지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예로부터 시리아 평원으로 이어지는 타우루스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다는 입지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BC 335~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당했으며 7세기말 아바스 왕조의 아랍인들에게 지배를 받게 되었고 그후 600년 동안 통치자가 바뀌다가 1378년에 투르크멘족의 라마잔 왕조가 들어섰다. 라마잔 통치자들은 1516년 오스만 제국의 군주 셀림 1세에게 정복당한 이후까지도 이 지역을 지배했다. 1608년 아다나는 오스만 제국의 직접적인 통치 아래서 주로 다시 바뀌었으며 아다나 시는 1867년에 주도가 되었다.
아직까지 남아 있는 옛 기념물 가운데 하나는 세이한 강을 가로지르는 길이 200m의 돌다리로서 유스티니아누스 재위기간에 건설되었고 8~9세기의 여러 아랍 통치자들이 복구했다. 강 오른쪽 기슭에는 나중에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가 된 후란 알 라시드가 782년에 건설한 성채의 유적이 있다.
주요 모스크인 울루카미는 1542년에 지은 것이다. 뒤쪽으로 펼쳐져 있는 비옥한 골짜기들을 기반으로 번영했으며 아나톨리아와 아라비아를 잇는 교역로들이 지나는 교두보라는 사실 또한 발전에 한몫을 했다.
튀르키예 면직공업 중심지이며 직물·시멘트·농기계·식물성기름을 제조한다. 이스탄불과 바그다드를 연결하는 철도가 지나며, 지선으로 남서쪽으로 51㎞ 떨어진 지중해 항구 메르신까지 이어져 이 항구를 통해 산물을 선적한다.
1973년에 세워진 추쿠로바대학교가 있으며 농업지대의 중심지로서 목화·쌀·참깨·귀리·감귤류가 재배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