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고구려의 역사책.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600년(영양왕 11)에 태학박사 이문진(李文眞)이 왕명을 받아 고사를 요약하여 〈신집〉 5권을 편찬했다고 한다.
이 '고사'는 〈유기 留記〉를 말하는데, 이것이 책 이름인지 또는 막연한 기록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유기〉를 바탕으로 〈신집〉을 다시 편찬하게 된 것은 당시 고구려 사회가 정치적·사회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현실적·실용적인 성격의 역사책이 필요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따라서 100권에 달했다는 〈유기〉와 달리 〈신집〉이 5권에 불과했다는 것은, 그것이 단순히 〈유기〉를 요약한 차원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사료를 취사선택함으로써 책의 성격이 크게 달라졌음을 말한다. 그러나 〈신집〉이 현실적·실용적 목적에서 편찬된 것이라기보다는 〈유기〉의 내용을 다듬고 요약한 데 그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유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