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시가전차

다른 표기 언어 streetcar , 市街電車

요약 도로에 설치된 궤도를 따라 운행하는 차량.
tram, trolley car라고도 함.

보통 1대의 차량으로 운행되지만 여러 대를 연결해서 운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동력은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기에는 말이 끌기도 하고 전지를 사용해 움직이기도 했으나,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었다.

1834년 버몬트 주 브랜던의 대장장이 토머스 데이번포트는 건전지를 이용한 소형 전기 모터를 만들고 이것을 이용해 짧은 구간에 소형차를 운행했다. 1860년에는 미국인 G. F. 트레인이 런던에 3개, 버컨헤드에 1개 노선을 개설했다. 영국에서 이 시가전차망은 트램웨이로 불렸으며, 1862년 샐퍼드, 1865년에는 리버풀에 건설되었다.

발전기가 발명된 후로는 고가전선을 통해 동력을 공급받는 방식을 이용했으며, 이 방식은 곧 영국·유럽·미국 등지에 널리 보급되었다.

1873년에는 앤드루 핼리디가 발명한 케이블 카샌프란시스코의 새크라멘토와 클레이가(街)에 등장했다. 이 차량은 동력실에서 증기기관으로 움직이는 축과 레일 사이의 좁고 긴 공간을 지나는 하나의 긴 케이블에 의해 움직이는데, 가파른 비탈길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여 샌프란시스코와 시애틀에서 가장 많이 운행되었다.

케이블 카는 초기의 전동차보다 작동이 수월했지만 변속이 불가능하고 케이블이 끊어지거나 뒤엉키면 모든 차량이 멈추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케이블 카는 1900년부터 대부분 전동차로 교체되었지만 시애틀에서는 1930년대까지 계속 운행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 일부 지역에서는 20세기 후반까지도 사용되었다.

1890년대부터 20년간 유럽과 미국에서는 말이 끄는 차량을 대신해 전동차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아시아·아프리카·남아메리카의 대도시에도 전동차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1902~17년에 전동차가 급속히 보급되어 철도마차를 대체했다. 모터나 차체의 개량을 위한 노력도 계속되어, 차량의 형태가 소형 4륜에서 수송능력이 훨씬 큰 대형 8륜으로 바뀌었으며, 차체에도 나무 대신 철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시가전차는 필수적으로 요구되었고 대도시들은 노선을 교외지역까지 확장해나갔다.

마찬가지로 유럽에서도 시가전차의 발달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나 보다 장기간에 걸쳐 계속되었다. 유럽의 여러 도시에 건설된 시가전차들은 매우 효율적이어서 도시지역의 주요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영국의 트램 가운데는 요금 징수원을 포함해 2명이 운행하는 2층차가 많았으며, 요금은 구간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었다. 유럽의 시가전차들은 영국의 것과 비슷한 형태였지만 단층식이 주종을 이루었다. 유럽에서는 곡선형의 바우나 조립식으로 조정가능한 팬터그래프 등의 기구를 통과하는 고가전선들로부터 동력을 얻었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나로 된 트롤리 폴을 사용했다.

영국에서는 고가전선 대신 도관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기도 했는데, 이 방법은 지하에 도관을 묻고 그 도관에 2개의 도체 레일을 부착시킴으로써 트램의 접속부가 그 레일 위를 지나가면서 동력을 공급받는 형태였다.

제1차 세계대전중 임금과 자재비는 날로 상승하는 데 반해 전차 요금은 시의 독점권으로 인해 인상이 억제되어 시가전차 회사들은 재정난을 겪게 되었다. 결국 정부가 요금인상을 허용했지만 그때는 이미 자동차가 널리 보급되어 있어 많은 도시에서 자동차와 버스를 대중교통수단으로 채택하기 시작했다.

1마일당 운행에 직접 사용되는 비용은 시가전차보다 버스가 훨씬 비쌌으나, 시가전차는 선로의 설치 및 유지에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경제성이 떨어졌다. 1930년대부터 미국에서는 자동차와 버스가 시가전차를 대체하기 시작했으며, 1940, 1950년대에는 그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었다. 1930년대에 개량형 2층버스가 등장하면서 영국에서도 교통수단의 교체가 빠르게 진행되어, 1950년대에 이르자 런던에서는 운행중인 트램을 단 1대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단지 비교적 현대적인 2층전동차를 운행하던 글래스고의 트램만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파리에서도 1930년대에 마지막 시가전차회사가 문을 닫았으며, 프랑스의 다른 지역과 이탈리아의 많은 도시들이 버스를 주요교통수단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중부 및 동부 유럽과 소련에서는 20세기 후반까지도 계속해서 주요 시가전차가 운행되었다. 시가전차는 대부분 시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민간업체들이 고가철도나 지하철보다 비용이 적게 드는 경편철도를 이용하기 시작했는데, 이 선로는 현대식 전기 트롤리에 적합한 것이었다.

경편철도망은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새크라멘토·새너제이, 오리건 주 포틀랜드, 뉴욕 주 버펄로 등의 도시에 건설되었다.

한국에서는 전차가 1898년 처음 서울에 등장했다. 미국인 콜브란과 보스트윅이 한국 정부로부터 전기사업경영권을 얻은 후 주요사업의 일환으로 전차부설이 시작되었다. 1898년 10월 18일에 공사가 시작되어 12월 25일 서대문-청량리 구간이 완공되었다.

같은 해 종로-남대문 구간에 이어 1900년 구(舊)용산(지금의 원효로 4가)까지 연장되었다. 서울 외에도 부산과 평양에도 전차가 개통, 운행되었다. 자동차가 보급되면서 버스가 주요교통수단으로 등장하게 되자 전차는 도시교통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1969년 철거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교통

교통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시가전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