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시의 기원

다른 표기 언어

시의 기원은 역사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마 언어 그 자체의 기원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고찰은 모두 가설일 수밖에 없겠으나 일반적으로 원시농경사회의 풍년을 비는 제례의식에서 읊었던 주문(呪文)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또 인간의 탄생이나 죽음, 구애나 혼인 같은 강렬한 감동이나 기도 등에서도 특별한 언어활동이 필요했을 것이다. 또한 농사 등의 집단작업에서 그 리듬을 외쳐 끊임없이 공동체 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불려졌던 노동요에서도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문자의 발명 이전에는 각각의 공동체의 존재이유·역사·습관·규율 등을 노래에 의해 전승시킬 필요가 있었는데, 거기에서 기억하기에 편리하고 듣는 이들에게도 감동을 주는 운율형태를 갖춘 서사시나 교훈시가 생겨났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느 민족이나 그 문명의 초기 단계부터 종교적·주술적 송가(頌歌), 설화적 서사시, 서정적 가요 등을 가지고 있었으리라고 여겨진다. 그것을 반복해서 사용해오던 중 점차 그 가사가 정해지고, 특별한 제의나 궁정행사 등을 중심으로 전문적인 낭송자가 생겨난 데 이어 전문적인 작사자도 나오게 되었을 것이다.

문자로 기록된 것들 중 현재 남아 있는 것으로는 고대 바빌로니아의 〈길가메시 이야기 Gilgamesh Epoth〉(BC 2000), 고대 인도의 고대 서사시인 〈마하바라타 Mahābhārata〉·〈라마야나 Rāmāyana〉,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 텍스트〉와 신들에게 바치는 찬가(讚歌), 고대 그리스의 호메로스가 쓴 서사시 〈오디세이아 Odyssey〉·〈일리아스 Iliad〉, 〈구약성서〉에 포함된 고대 히브리 민족의 운문시가서인 〈시편〉·〈아가〉·〈예레미야의 애가(哀歌)〉 및 〈이사야〉 일부와, 고대 중국의 〈시경 詩經〉 등이 유명하다.

마하바라타 (Mahābhārata)

힌두교의 서사시

ⓒ Ranveig / wikipedia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시의 기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