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조종할 수 있는 외날 미끄럼 용구를 이용한 동계 스포츠.
skibob race라고도 함.
이 용구는 자전거·봅슬레이·스키를 혼합한 것이다. 뒤쪽의 기다란 스키는 고정되어 있고, 앞쪽의 짧은 스키를 움직이면서 방향을 조종한다. 이 용구에는 자전거 같은 안장과 손잡이가 달린 조종칸이 갖추어져 있다. 유연하게 조립되어 있어서 어디에 부딪혀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고, 나무나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가볍기 때문에 들고 다니기에 용이하다. 스키봅의 길이는 1.9~2.29m이다. 선수는 짧은 스키를 신고 헬멧을 써야 하지만, 눈을 보호하는 안경의 착용에 대해서는 의무규정이 없다.
경주할 때는 대개 3~5㎞의 정해진 코스를 되도록 빨리 달린다. 유럽 선수권대회와 세계선수권대회는 각각 1963, 1967년부터 열리기 시작했는데, 오스트리아 빈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 스키봅 연맹(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Skibob/FISB:1961 창설)에서 국제대회를 주관한다. 1892년 스키봅과 비슷한 최초의 기구가 미국에서 특허를 얻었고, 1902년에는 오스트리아에서 비슷한 기구가 개발되었다. 스위스의 우편배달부와 신문배달 소년들도 이 기구를 이용했지만, 스키봅이 스포츠로 발전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였다. 1948년 독일의 게오르크 게펠러는 '게펠러 아이'(게펠러 달걀)를 제조했는데, 이것을 스키봅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스포츠는 오스트리아에서 스위스의 알프스 지방,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등지로 보급되었고, 유럽에서 다시 미국·캐나다·일본을 비롯한 세계 전역으로 보급되면서 국제적인 스포츠가 되었다.
스키봅 종목은 활강, 대회전, 스페셜 회전으로 스키 종목과 비슷하며, 활강 코스의 낙하거리는 여자가 최소한 365m이고, 남자는 600m가 되어야 한다. 대회전 코스는 그처럼 가파르지 않고, 31개의 기문(旗門)이 설치된다. 스페셜 회전 코스는 훨씬 더 완만하지만, 남자는 50~60개, 여자는 30~40개의 기문을 통과해야 한다. 대회가 아닐 때는 평균시속 40~65㎞ 정도이지만, 활강에서는 시속 160㎞가 넘는 속력을 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스포츠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