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숭유억불책

다른 표기 언어 崇儒抑佛策

요약 조선 초기에 불교를 국가 교학에서 제외하고 유교만을 유일한 지배이념으로 확립하기 위해 시행한 정책.

고려 전기에 이미 유교사상을 지배적 정치이념으로 받아들였으나, 그 유교는 자연·인간·사회에 관한 체계적이고 통일적인 세계관으로까지 발전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지배층조차 일상생활을 포함한 사회생활 전반을 이끌어가는 규범으로서 유교를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고려시대 지식인에게 세계관·인생관을 제공한 것은 불교였으며, 지배층과 백성들의 생활을 이끌어가는 규범도 불교적이었다. 이러한 학문·사상계의 상황이 변화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기부터이다. 봉건사회의 재편으로 규정되는 이 시기의 사회발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교학의 재편이 이루어져야 했으며, 그 방향은 사대부로 불리는 새로운 성격의 학자관료층에 의해 유교, 특히 성리학을 유일한 국가 교학으로 확립하는 것으로 잡혀졌다.

고려 말기의 사대부들은 성리학을 받아들이는 한편 불교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불교 행사가 국가 재정에 미치는 영향이나 승려들의 타락 등 불교의 현실적 폐해를 비판하는 데 머무르던 척불론(斥佛論)이 왕조교체기에 이르러서는 불교 그 자체의 폐지까지 주장하는 것으로 진전되었다. 이들 사대부들이 역성혁명(易姓革命)을 통해 조선왕조를 개창하자 척불론은 구체적인 정책으로 실현되었다.

조선 초기의 배불정책은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 하나는 불교세력의 인적·물적 기반을 축소하는 것이었다. 고려 말기에는 사원·승려의 증가와 아울러 그들이 소유하는 토지와 노비의 확대로 불교의 물적·인적 기반이 팽창되었으며, 그 기반은 권문세족과의 결탁에 의해 국가적인 비호를 받으면서 더욱 확대되어갔다. 그결과 중소지주와 농민들의 이해관계가 불교세력과 날카롭게 대립하게 되고, 나아가 국가 재정에도 심각한 영향을 초래했다. 고려 말기의 사회·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교세력의 물적·인적 기반을 축소하는 조치가 필수적이었고, 이에 1388년(우왕 14)에 과전법을 제정하면서 승려에게는 수조지의 지급을 중단하고 이제까지 면세전이던 사사전에도 수세하는 조치가 취해졌다.

그후 조선시대에는 1402년(태종 2), 1406년, 1424년(세종 6) 3차례에 걸쳐 불교의 종단과 사찰을 정리하면서 사찰이 소유한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서 몰수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결과 사전개혁이 이루어진 뒤에도 약 4만~5만 결에 달하던 사원의 수조지가 약 8,000결 정도로 축소되었으며, 10만에 가까운 사원노비가 국가에 몰수되었다. 또한 고려 말기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도첩제(度牒制)를 한층 더 강화하여 승려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베[布]를 바치도록 함으로써 승려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했다.

배불정책 가운데 또 하나는 불교가 담당하던 상제례(喪祭禮)를 유교식으로 바꿈으로써 불교의 사회적 권위를 약화시키는 것이었다.

고려시대에는 민간에서는 물론이고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불교의 종교적 기능은 커다란 위력을 가지고 있었다. 배불정책을 추진하던 조선도 이 종교적 기능을 전면적으로 부정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유교적 예제에 따르는 왕조례(王朝禮)와 사서례(士庶禮)를 정비하고 시행함으로써 불교의 종교적 기능을 약화시키려는 조치는 꾸준히 이루어졌다. 그러한 조치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시행된 것은 주자가례(朱子家禮)의 보급이었다.

유교적인 윤리도덕규범의 실천을 강조하는 〈소학 小學〉 교육을 장려하고, 또 정표(旌表)정책을 강화하여 유교적 윤리도덕규범의 실천을 이끌어내려 한 것도 유교식 상제례의 보급에 기여했다.

그결과 15세기말경에 이르면 지배층 내부에서는 대부분 유교적인 상제례를 시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와 같이 유교적인 상제례의 실천이 보편화될수록 불교의 사회적 권위는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내용을 가진 숭유억불정책에 의해 유교적인 통치체제가 확고해져갔고, 신분제가 강화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숭유억불책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