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군용은 병력과 보급품을 수송하기 위해 설계된 항공기로 활공기와 강습용 항공기 및 대형 병력 수송기가 포함된다. 민간용은 여객기, 화물기, 여객·화물 겸용 수송기 및 특수화물 전용기 등으로 구별되는데 대양 횡단이나 주요항로에는 4발대형기가 표준이다. 1919년 여객수송의 정기항로가 개설되어 처음 등장했지만 근대수송기의 시초는 1935년 미국에서 제작된 DC-3이다. 1952년 제트 기관을 장착한 수송기 DH 코멧기의 취항을 시발로 1958년부터는 수송기의 본격적인 제트화가 이루어졌다. 오늘날의 수송기는 약 500명의 여객을 수용할 수 있고, 화물용으로는 120t 이상을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대형화되었다.
군·민간을 통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항공기이며 가장 종류가 많은 항공기이기도 하다.
크게 군용과 민간용으로 나뉜다. 군용은 병력(兵力) 및 보급품을 수송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항공기로서, 이에는 활공기(glider)와 강습용 항공기 및 대형 병력 수송기가 포함된다. 민간용은 여객기, 화물기, 여객·화물 겸용 수송기 및 특수화물 전용기 등으로 구별되며, 항공로의 규모와 수송량에 따라 형식·크기·성능이 각기 다른데 대양 횡단이나 주요항로에는 4발대형기(四發大型機)가 표준이다. 여객기에 있어서는 극도의 안전과 쾌적이 요구되는 것 외에 저렴한 운항비, 많은 탑재량, 최단 지상정류시간 등이 각 기종(機種)을 통해 요구되는 특성이 있으며, 화물기는 특히 하역설비가 중요한 조건으로 되어 있다. 1919년 세계 각국에서 비행기에 의한 여객수송의 정기항로가 개설되어 수송기가 처음 등장하게 되었지만 근대수송기의 시초는 1935년 미국에서 제작된 DC-3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52년 제트 기관을 장착한 수송기인 영국의 DH 코멧기가 처음으로 정기항공에 취항한 것을 시발로 하여 1958년부터는 수송기의 본격적인 제트화가 이루어졌다. 프로펠러기에서는 음속에 가까워지면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시속 800㎞ 이상의 속도를 내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되었으나, 제트기에는 그러한 제한이 없으며, 군용기인 록히드 YF-12A는 이미 시속 3,332㎞(마하 3.1)의 속도 기록을 수립했다. 상용 수송기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마하 0.85 정도이지만, 1976년 이래 SST(초음속 수송기) 콩코드는 마하 7.2로서 정기노선에 취항하고 있다. 오늘날의 수송기는 여객용으로는 약 500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고, 화물용으로는 120t 이상을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대형화되었으며, 수직이착륙 및 초단거리 이착륙의 수송기도 개발되는 등 점보제트의 수송수단은 더욱 발전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항공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