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손영각

다른 표기 언어 孫永珏
요약 테이블
출생 1855년 4월 9일, 경북 영일
사망 1907년 9월 1일
국적 한말, 한국

요약 한말 의병장.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뒤 시종관 정환직이 고종의 명을 받고 그의 아들 용기를 고향으로 보내 의병을 일으키게했다. 정용기·이한구(李韓久)·정순기 등과 거사를 모의한 뒤 권세가 등의 노래를 지어 돌려서 애국정신을 일깨우는 한편, 통유문·격려문을 돌려 의병에 참가할 것을 권고했다.

1906년 3월 영천을 중심으로 산남창의진을 형성하여 정용기가 대장, 이한구가 중군장, 그는 참모장이 되었다. 동해안 여러 지방을 공격하고 관동지방으로 진격하던 중 정용기가 대구에서 체포되어 7월 하순경 의진을 해산했다. 1907년 일제가 대한제국의 군대를 해산시키자 다시 의병을 일으켜 청하를 공격해 일본 헌병을 죽이고 헌병분파소를 불태웠다. 그뒤 전군을 운주산 아래 상귀원에 집합시켜 북진을 의논했으나, 무기와 탄약이 부족하고 의견이 일치되지 않아 본진의 의병 100여 명만이 죽장면 매현리에 주둔했다.

같은 해 9월 1일 밤 입암에서 일본군의 습격을 받아 교전했으나, 그를 비롯하여 정용기·이한구·권규섭 등 의병 부대의 주력들이 대부분 전사했다. 1980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손영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