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46년 |
---|---|
유형 | 국립대학법인 종합대학교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관악캠퍼스),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연건캠퍼스),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평창대로 1447(평창캠퍼스) |
사이트 | http://www.snu.ac.kr |
요약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국립 종합대학.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고등교육기관이다. 1946년에 국립서울대학교로 개교했다가 1948년 서울대학교로 개칭되었다. 2011년에는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했다. 교훈은 '진리는 나의 빛'이다. 본교는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 소재하며,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과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경기도 시흥시에 각각 연건캠퍼스와 평창캠퍼스, 시흥캠퍼스가 있다. 경인지역을 대표하는 거점 국립대학교이자 국내 최고 지성의 전당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다.
개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립 고등교육기관. 국립대학법인에 속하는 4년제 종합대학이다. 1895년 최초의 근대 법학 교육기관으로 설립된 ‘법관양성소’에서 서울대학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고종의 칙령을 통해 한성사범학교, 경성의학전문학교, 농상공학교 등이 연이어 설립되었고, 이들은 해방 후 국립서울대학교의 단과대학을 구성한 후 현재까지 분화·발전해 왔다. 2011년에는 정부 소속 국가기관에서 자율성을 가진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했다. 영문 약칭을 따, 'SNU'로 표기하기도 한다.
설립 이념
대한제국 건립기에 자력 근대화를 위한 교육 사업 추진 속에서 설립되었다. ‘진리는 나의 빛(VERITAS LUX MEA)’을 교훈으로 학문과 진리 탐구를 통해 겨레와 함께 미래로 도약하는 배움의 터전을 표방하고 있다. 공공선으로 무장한 선한 인재, 인류 보편의 가치를 내면화한 세계시민,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 후속세대로서의 인재상을 지향하고 있다.
연혁 및 변천
근대적 국립 고등교육기관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1895년 4월 19일 고종의 칙령을 통해 최초의 근대 법학 교육기관으로 설립된 '법관양성소'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한성사범학교, 의학교, 농상공학교 등을 설립했다. 이들은 오랜 세월을 거쳐 서울대학교의 근간이 되었다. 해방 후, 미군정 하에서 1946년 공포된 '국립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에 의거하여 그 해 10월 국립서울대학교를 개교했다.
경성대학(옛 경성제국대학)과 경성경제전문학교·경성법학전문학교·경성의학전문학교·경성광산전문학교·경성사범학교·경성공업전문학교·경성여자사범학교·수원농림전문학교 등 8개 관립전문학교, 그리고, 사립학교인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를 일괄 통합하여 9개 단과대학과 1개 대학원의 종합대학교였다. 정부 수립 후 교육법이 제정되면서 1949년 12월 31일 학교의 공식 명칭을 '국립서울대학교'에서 '서울대학교'로 바꾸었다.
1950년 6·25전쟁 발발후에는 부산에서 ‘전시연합대학’을 편성하여 수업을 운영했다. 그 시기에 약학대학을 설립하여 사립 서울약학대학(옛 경성약학전문학교)을 통합시켰고, 1953년 4월에는 예술대학을 미술대학과 음악대학으로 분화시켰으며, 농과대학 수의학부를 수의과대학으로 승격시켰다. 1953년 9월 서울로 환도한 후 ‘민족의 대학 건설’이라는 목표 아래 재건을 시작했다.
1968년 '서울대학교 종합화 10개년 계획'이 확정되었고, 그에 따라 1975년 3월부터 대학 본부와 일부 단과대학들이 서울 종로구 동숭동에서 지금의 관악캠퍼스로 이전했다. 1978년 의과대학·치과대학부속병원이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으로 발족되었으며, 1982년 한국방송통신대학이 본교에서 분리·독립했다.
20세기 들어 서울대학교는 대학의 자율성을 제고한다는 목적으로 서울대 법인화 계획을 세우고 2008년 10월 법인화위원회를 발족한 뒤, 2011년 12월 28일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로 출범했다. 2012년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 지식 공동체’로 비전을 선언하고, 2014년에는 국제농업기술대학원과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한 평창캠퍼스를 완공하고 개원했다. 2020년 시흥캠퍼스 설립의 1단계를 완공했다. 2023년 12월 한화 글로벌부문과 산학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학 조직
2025년 기준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간호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미술대학, 사범대학, 생활과학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음악대학, 의과대학, 자유전공학부, 첨단융합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외에 보건대학원과 행정대학원, 환경대학원, 국제대학원, 치의학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공학전문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속시설로는 박물관·규장각한국학연구원·관악학생생활관·보건진료소·실험동물자원관리원·기초과학공동기기원·언어교육원·대학생활문화원 등의 본부 직할기관과, 간호대학부속 간호학교육연수원·공과대학부속 공학교육혁신센터·농업생명과학대학부속 농장·사범대학부속 교육행정연수원·수의과학대학부속 동물병원·약학대학부속 약초원 등의 부속기관이 있다.
연구기관은 통일평화연구원·생명공학공동연구원·금융경제연구원·아시아에너지환경지속가능발전연구소·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빅데이터연구원 등의 본부주관연구소와 인문학연구원·사회과학연구원·간호과학연구원·조형연구소 등 다수의 대학 및 대학원 부속연구기관이 있다. 그밖에 나노입자연구단·핵변환에너지연구센터·패션신소재연구센터 등의 다양한 국가지원연구센터가 있다.
법인기관으로는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치과병원·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서울대학교생활협동조합·(재)서울대학교발전기금·(사)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이 있다. 부설학교로는 부설 초등학교, 부설 중학교, 부설 여자중학교, 부설 고등학교가 있다.
현황
본교인 관악캠퍼스의 소재지는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이다. 연건캠퍼스는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3에, 평창캠퍼스는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평창대로 1447에, 시흥캠퍼스는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 173에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