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
---|
요약 국보(1962.12.20 지정). 중앙의 본존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보주를 든 보살입상이, 왼쪽에 반가사유상이 협시하고 있는 삼존형식이다. 7세기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조각의 대표적인 예이다. 본존상은 시무외·여원인의 입상으로 머리는 소발이고 얼굴은 네모나며 눈을 크게 뜨고 밝게 웃고 있다. 당당한 체구에 법의는 통견으로 입고 있다. 보주를 들고 있는 보살입상은 머리에 일월식이 있는 높은 보관을 쓰고 있다. 천의는 양팔에 걸쳐져 U자형으로 길게 늘어져 있다. 반가사유상도 높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상체는 벗었고 허리 아래에만 군의를 입고 있다. 삼존상은 모두 보주형의 두광을 갖고 있다. 대좌는 3상이 모두 단판연화좌이다.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본존상 280㎝, 보살입상 170㎝, 반가상 166㎝. 중앙의 본존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주를 든 보살입상이,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협시하고 있는 특이한 삼존형식이다.
본존상은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의 입상으로 머리는 소발(素髮)이고 얼굴은 네모나며 눈을 크게 뜨고 밝게 미소짓고 있다.
당당한 체구에 법의는 통견으로 입고 있는데 가슴이 깊게 벌어져 사선으로 표현된 내의와 띠매듭이 보이고, 끝자락은 어깨 뒤로 넘겨져서 몸의 중심으로 U자형의 둥근 옷주름이 늘어지고 있다. 양감이 있으면서도 부드럽게 늘어지고 있는 법의의 표현이 매우 자연스럽다. 보주를 들고 있는 보살상은 머리에 일월식(日月飾)이 있는 높은 보관을 쓰고 있는데, 보관 양쪽에 화문이 있으며 높이 솟은 보관 윗부분의 중앙에는 돌기처럼 튀어나온 술장식이 있고 양쪽으로 띠가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천의는 양팔에 걸쳐져 U자형으로 길게 늘어져 있으며 군의의 윗부분에는 한번 접혀서 늘어진 주름이 보인다. 이와 같은 도상적 특징은 7세기 전반의 보살상들에서 볼 수 있는 것이며, 조각수법이 부드럽고 자연스러워 약간의 환미감마저 느껴진다. 반가사유상도 높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상체는 벗었고 허리 아래에만 군의를 입고 있다.
삼존상은 모두 보주형의 두광을 갖고 있는데 협시상의 경우는 내구에 단판 연화무늬 만이 장식되어 있는데 반해 본존의 경우는 외구에 화염무늬와 화불이 유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대좌는 3상이 모두 단판연화좌이다. 인근에 있는 태안마애삼존불상(泰安磨崖三尊佛像)보다는 다소 늦은 조각양식이 보이므로 7세기초에 조성된 상으로 추정되며, 백제조각의 대표적인 예이다.
중국 교역로의 중심지였던 태안반도와 백제의 수도인 부여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중국과의 접촉이 빈번했던 지리적 요충지에 만들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애석불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