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서머타임제

다른 표기 언어 summer time system 동의어 일광절약시간제, Daylight saving time, DST

요약 여름철에 표준시간을 한시간 앞당기는 제도. 일광절약시간제라고도 한다. 여름 낮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만들었다. 1916년 독일이 처음 도입했다. 우리나라는 1948~60년 사이와 1987~88년 서울올림픽 기간에 시행한 바 있고 1989년 폐지되었다. 장점으로는 에너지 절약, 여가 및 취미 시간의 증대 등이 있고, 생활 리듬이 깨어지고 혼란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서머타임제(summer time system)

ⓒ Julia Tim/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일광절약시간제라고도 한다. 제1차 세계대전 기간에 영국과 독일에서 처음으로 실시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49년 4월부터 대통령령 제74호인 '일광절약시간 제정에 관한 건'에 의하여 처음 실시되었다. 이후 1961년 5월 각령 제250호에 의하여 폐지되었다가 서울 올림픽 대회 유치를 계기로 1987년 4월부터 대통령령 제12136호인 '일광절약시간제 실시에 관한 규정'에 의하여 1988년까지 실시되었다.

1987년의 경우 서머타임제는 5월 10일 새벽 2시를 3시로 맞추고 모든 생활시간이 1시간 앞당겨지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10월 11일까지 실시되었다. 이 제도가 실시되자 초기에는 제도에 적응하지 못하여 많은 국민들이 혼란과 불편을 겪는 등의 부정적 측면이 있기도 했지만 저녁에 취미 및 여가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전력소비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서머타임제의 장점은 여가 및 취미 시간의 증대, 에너지 절약, 생산능률의 향상 등이지만, 생활 리듬이 깨어짐으로써 혼란과 불편이 생긴다는 단점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사회문화/현상

사회문화/현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서머타임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