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색전증

다른 표기 언어 embolism , 塞栓症

요약 색전이 혈관, 주로 동맥의 분지에서 멈추어 혈액의 흐름을 막게 될 때 문제가 생기며,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면 발작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결과 의식불명, 신체 한쪽의 일부 또는 전체의 마비, 실어증, 기억장애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사망한다. 폐동맥색전증 환자는 호흡이 곤란하고 협심증처럼 흉골 밑이 불쾌한 느낌이 든다. 혈관이 막혀 폐조직 일부분이 죽게 되면 열이 나고 심장박동이 빨라진다. 이러한 환자는 호흡이 비정상적으로 들리고 백혈구 수가 늘어나며 혈액의 화학적 성분에 이상이 생긴다. 치료는 진통제와 항응고제, 호흡을 돕기 위한 산소를 투여해야 한다. 또한 수분섭취를 줄이고, 감염을 막기 위해 합성제를 투여한다. 관상동맥에 색전증이 생기면 심근경색증을 비롯해 여러 가지 심각한 결과가 생긴다.

색전증

ⓒ OBprod/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 물질은 생성 부위에서 떨어져나온 혈병일 수도 있고(혈병이 생긴 곳에 혈관이 붙어 있으면 혈전이라고 함), 지방조직을 짓누르는 손상을 받아서 생긴 작은 지방 덩어리일 수도 있으며 암세포나 세균, 따로 떨어져나온 조직 덩어리일 수도 있다. 또한 혈관 벽을 뚫고들어온 탄알과 같은 이물질일 수도 있으며 심지어는 공기방울이나(이 경우 공기색전증이라 함) 잠함병에서처럼 질소와 같은 다른 기체방울일 수도 있다.

색전은 혈류가 방해를 받지 않는 한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색전이 혈관, 주로 동맥의 분지에서 멈추어 혈액의 흐름을 막게 될 때 문제가 생기며,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면 발작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결과 의식불명, 일시적으로 또는 오랫동안 지속되는 신체 한쪽의 일부나 전체의 마비, 실어증(언어의 표현력·이해력이 상실된 상태), 기억장애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사망한다. 폐동맥색전증(폐동맥이나 그 가지에 색전이 생겨 폐로 가는 혈액의 흐름이 막힌 상태) 환자는 호흡이 곤란하고 협심증에서 느껴지는 것과 같이 흉골 밑이 불쾌한 느낌이 든다. 혈관이 막혀 폐조직 일부분이 죽게 되면(폐경색) 열이 나고 심장박동이 빨라진다. 이러한 환자는 호흡이 비정상적으로 들리고 백혈구 수가 늘어나며 혈액의 화학적 성분에 이상이 생긴다(빌리루빈과 특정 효소의 증가).

치료는 진통제와 혈병형성이 재발되는 것을 막기 위한 항응고제, 호흡을 돕기 위한 산소를 투여해야 한다. 또한 수분섭취를 줄이고, 감염을 막기 위해 합성제를 투여한다.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색전증이 생기면 심근경색증(심장근육 일부에 괴사가 일어나는 것)을 비롯해 여러 가지 심각한 결과가 생긴다.→ 혈전증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질병

질병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색전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