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상식철학

다른 표기 언어 philosophy of common sense , 常識哲學

요약 토머스 리드, 애덤 퍼거슨, 두걸드 스튜어트 등을 위시한 18~19세기초 스코틀랜드 학파의 철학.

소박한 보통 사람들의 실제 지각에서, 감각은 단순한 관념이나 주관적 인상이 아니라 외부의 대상에 속하는 성질에 관한 믿음을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 리드는 이러한 믿음은 "인간의 상식과 이성에 속하며, 상식에서는 배운 사람이건 못 배운 사람이건, 철학자이건 일용노동자이건 간에 모두 같은 수준이다"라 고 주장했다.

상식철학은 관념을 지나치게 강조한 버클리의 주관적 관념론과 흄의 회의주의에 대항해서 발전했다. 상식철학자들이 보기에, 관념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기본전제에서 어리석은 결론으로 이어지는 그릇된 출발점을 제공했다. 이 그릇된 출발점은 데카르트와 로크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들은 다른 모든 것을 관념에 종속시킬 정도로 관념을 중요시했다.

1816~70년 이러한 스코틀랜드 학파의 이론은 프랑스의 공식 철학으로 채택되었다. 그리고 20세기 분석철학의 아버지인 G. E. 무어는 특히 〈상식의 옹호 Defence of Common Sense〉(1925)를 통해 많은 영미 계통의 철학자들에게, 철학자의 임무는 상식의 확실성을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분석하는 일임을 설득했다.

조지 에드워드 무어(George Edward Moore)

영국의 철학자이다.

ⓒ Filobotfil/wikipedia | CC BY-SA 3.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양철학

서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상식철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