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개요
상선은 그 종류에 따라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여객·원 유·컨테이너 등 적재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또 배의 형태를 선체부·기관부·주거실(住居室)·선창 등의 구성에 따라 특징 지울 수도 있다. 상선의 설계에서는 요구되는 기능을 총족시키기 위하여 이것들의 최적한 배치와 구조를 정하게 된다.
상선의 형태는 스스로 기 본이 정해져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주요치수(길이·너비·깊이·흘수 등)는 성능과 강 도·경제성 등을 가장 적합하게 맞추도록 정해진다. 따라서 선박은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선체
현대의 상선은 전부 강철선이다. 배는 나무·가죽 등에서 철선시대를 거쳐 강철선 이 되었는데 현대의 배에 사용되는 강철재는 강도와 용접성 등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고급 강재이다. 선체는 이와 같은 강재를 사용한 외각(선각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대량의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공간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과, 구조물로서 파랑(波浪) 등 의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안전해야하는 양쪽의 조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다.
또 건조의 용이성과 취항 후 보수의 편의성을 감안해야 한다. 선체구조는 대별하면 외판·갑판·선저(船 低)·프레임 등이 되는데 이것들의 치수는 선급협회의 구조규정에 합치하여야 하는 외에, 선체구조역학과 진동학 등의 지식을 종합하여 합리적으로 결정된다.
기관 및 추진장치
배의 기관(선박용 기관)은 레시프로케이트(reciprocate) 증기기관으로 부터 발달하고, 현재는 대부분 디젤 기관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에 고과 급방식(高過給方式)의 디젤기관이 만들어지게 되어 대마력의 영역에 진출하고, 종래의 증기 터빈도 디젤 기관으로 대체되고 있다. 현재는 최대마력도 5만 마력에 달한다.
또한 연료소비 율도 현저히 개선되어 종래는 보일러에서밖에 사용되지 못했던 저품위의 중유도 디젤 기관 에서 연소할 수 있게 되었다. 추진방식은 옛날에는 외차(와륜)가 사용되었으나, 스크루 프로 펠러에 의해 대체되고, 현재의 배는 거의 스크루 프로펠러 추진이다.
장비
배의 각종 장비를 의장(艤裝)이라고 하는데, 의장은 배의 다양한 기능에 대응하는 장치이며 하역과 주거설비 등으로 되어 있다.
자동화
합리화의 요청과 배의 현대화에 수반하여 상선의 자동화가 최근 현저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 자동화는 기관부의 자동화와 항행의 자동화로 대별되는데, 기관부에 대해서는 현재 거의 모든 상선이 장시간 무인운전이 가능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조선/해양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상선의 기술상 특징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