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삼원법

다른 표기 언어 三遠法

요약 산수화 시점(視點)의 3가지 종류.

고원(高遠)·심원(深遠)·평원(平遠)을 말한다.

산수화의 전개과정에서 공간감 표현의 발달에 따라 7~8세기경부터 삼원의 형식이 각각 대두되기 시작했으나 이론적 체계는 북송의 곽희에 의해 이루어졌다.

곽희는 고원을 산 아래에서 산꼭대기를 올려다 보는 앙시(仰視)로, 심원은 산 앞에서 산 뒤를 굽어 넘겨다보는 부감시(俯瞰視)로, 평원은 가까운 산에서 먼 산을 바라보는 수평시(水平視)로 정의했다. 그리고 고원의 시각으로 본 경우 산세가 높이 솟아 있어 산색이 청명하고, 심원은 층층이 중첩되어 무겁고 어두우며, 평원으로 바라보면 나직하기 그지없어 밝게도 보이고 어둡게도 보인다고 했다.

고원은 경관의 웅장함을, 심원은 깊음을, 평원은 넓음을 나타내는 데 각각 활용되었지만 10~11세기 이후 산수화가 자연의 다양한 속성을 동시에 담는 것을 지양하고 화면 안에서 거닐고 머무를 수 있는 소요감을 유발할 수 있는 공간감의 형성을 추구했기 때문에 삼원법을 병용하여 사용했다. 서양의 과학적인 투시원근법과는 달리 다원적 시점의 이동에 의해 구도상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변화와 함께 독특한 공간미를 제시해주었으며, 산수화 구도형식의 기반을 이루었다.

삼원법을 병용한 대표적인 예는 곽희의 〈조춘도 早春圖〉(타이완 고궁박물원 소장)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초기의 〈어제비장전판화 御製秘藏詮版畵〉(성암고서박물관 소장)와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 夢遊桃源圖〉(일본 뎬리대학[天理大學] 도서관 소장)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미술

미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삼원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