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살구

다른 표기 언어 apricot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벚나무속
원산지 아시아 (중국,일본,대한민국)
서식지 온대지방
크기 약 10m
학명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꽃말 처녀의 부끄러움, 의혹
용도 생식용, 저장용, 약용

요약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식물. 원산지는 중국 북서부이며, 한반도와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잎은 암록색의 심장 모양으로 잔가지에 달리며, 줄기 마디에 흰색 꽃이 핀다. 열매의 모양은 복숭아와 비슷하지만 짙은 노란색에서 오렌지색을 띤다. 맛은 대체로 달콤하다. 날것으로 먹거나 통조림이나 건조식품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살구씨를 말린 것은 천식·호흡곤란·신체부종 등의 치료에 쓰인다.

개요

살구

ⓒ WIKIMEDIA COMMONS (Fir0002) | cc-by-sa

과일의 한 종류. 복숭아와 생김새가 비슷하다. 껍질 색깔은 다홍색이 감도는 주황빛을 띠며, 과육도 껍질의 색깔과 같다. 과육 안에는 어두운 나무색의 큰 씨앗이 하나 있다. 식용 이외의 용도로도 쓰이는데, 특히 살구에서 추출한 오일이 피부 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인기가 좋다. 식재료로서 조리할 때는 잼이나 통조림으로 가공하여 먹고, 얼음과 함께 갈아 음료수로 마시기도 한다.

생태

보통 세계의 온대지방에서 널리 심고 있다. 날것으로 먹거나 가루반죽에 넣어 요리하거나 통조림을 만들기도 하고 건조시켜 보존가공하기도 한다. 나무가 크고 넓게 퍼지며, 심장 모양의 잎은 암록색으로 잔가지에 곧게 달린다. 꽃은 활짝 피면 흰색을 띠며 매우 짧은 줄기의 마디에 한 송이, 또는 두 송이씩 핀다.

열매는 꽃이 피어 있는 동안 제꽃가루받이를 한 뒤 맺히며, 과육 속에 들어 있는 핵은 부드럽고 서양자두와 다소 비슷하지만 폭이 더 넓고 약간 납작하다. 몇몇 변종들은 열매가 거의 각이 없이 둥글거나 긴 타원형이며 약간 납작하지만 대개는 모양이 복숭아와 더 비슷하다. 익으면 털이 거의 없어지거나 아주 없어진다. 과육은 일반적으로 짙은 노란색에서 노란빛이 도는 오렌지색을 띤다. 몇몇 변종의 씨는 달콤하지만 유독한 것도 있다.

재배

복숭아나 살구나무 대목, 또는 복숭아, 서양자두, 살구나무에다 눈접[芽接]을 해 번식을 시키는데 접목시키기가 쉽다. 물이 잘 빠지는 양토질의 땅에서 잘 자라는데 단단한 곳보다는 무른 곳이 좋다. 대부분의 변종들은 복숭아만큼 겨울 추위를 잘 견디지만 복숭아의 꽃눈보다 더 빨리 벌어지는 꽃눈은 늦추위에 종종 죽기도 한다. 나무는 가뭄에도 잘 견디며 적당한 조건에서는 100년 이상을 사는 것도 있다. 최대 생산국은 스페인이며 이란·시리아·미국·프랑스·이탈리아 및 유럽 중남부 등에서 생산된다. 비타민 A가 풍부하며 천연당류의 함유량이 높다. 말린 살구는 철분의 매우 좋은 섭취원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중앙 아시아와 남동 아시아의 모든 지역, 유럽 남부와 북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심고 있다. 18세기초 스페인 선교사들이 캘리포니아 남부 지방으로 들여간 열매 중의 하나인 것이 확실하며, 미국과수원예학회(American Pomological Society)는 1879년 미국에서 재배했던 11개 변종을 목록으로 만들었다. 한국에는 〈삼국유사〉에 살구꽃을 보고 봄이 깊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는 대목이 있는 점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살구를 심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열매는 적당히 시면서도 달콤한 맛이 난다. 영양 면에서는 비타민과 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특히 눈 건강의 증진과 변비 완화에 효능이 있으며, 노화를 예방하고 염증을 소독하는 데에도 효과가 좋다. 살구씨 말린 것을 행인이라고 하여 진해·천식·호흡곤란·신체부종 등의 치료에 쓰는데, 서양에서는 수증기로 증류해서 만든 수용액인 행인유를 연고제나 주사약으로 쓴다. 이른봄에 꽃이 아름답게 피며, 여름에는 과실이 열리기 때문에 관상수로서뿐 아니라 과수로도 훌륭하다.

대표 효능

탄수화물, 단백질, 칼슘, 비타민, 식이섬유, 인, 나이아신, 칼륨, 베타카로틴

고르는 법

열매의 표면이 고유의 색을 띠고 있으며, 얼룩지지 않고 껍질이 깨끗한 것을 고른다. 부분적으로 짓물렀거나 지나치게 익은 것, 또는 덜 익은 것은 피한다.

조리법

살구는 생으로 먹기도 하고, 여러 가공 과정을 거쳐 잼이나 통조림 등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말려서 간식이나 술안주로 먹기도 하는데, 말린 살구는 당도가 높아져 더 진한 단맛을 느낄 수 있어 별미로 꼽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4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살구

장미과 식물

추천항목


[Daum백과] 살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