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사주

다른 표기 언어 四柱

요약 사람의 생년·월·일시의 간지.

사성(四星)·강서(剛書)·경첩(庚帖)이라고도 한다. 이를 풀어봄으로써 그 사람의 지나온 생애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데, 이를 사주점이라고 한다.

원구단

원구단 전경, 서울시 중구 소공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구단

답도, 원구단, 서울시 중구 소공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구단

돌란대, 원구단, 서울시 중구 소공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구단

잡상, 원구단, 서울시 중구 소공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원구단

문, 원구단, 서울시 중구 소공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주

사주를 풀어봄으로써 그 사람의 지나온 생애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길흉화복을 점친다.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주란 사람을 집에 비유할 때, 생년·월·일시를 집의 네 기둥으로 본 것이다. 간지는 두 글자씩 짝이 되므로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도 한다. 보통 운명이나 숙명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사주는 10간과 12지를 조합하여 계산하므로 60갑자, 즉 육갑으로 표현된다.

사주가 그 사람의 운세를 나타낸다고 보는 것을 명리(命理)라 하고, 사주를 분석·종합하여 그 사람의 길흉화복을 짚어보는 것을 추명(推命)이라 한다. '사주를 본다'는 것이 바로 추명이다. 추명을 통해서 그 사람의 숙명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흉을 피하고 길을 취하는 개운법(開運法)을 쓴다.

사주로 알 수 있는 것은 개인의 성격이나 적성, 부모형제·부부·자녀 등 대인에 관한 것, 관운(官運)·재운(財運) 등 운수, 그밖에 건강·상벌·재앙 등이 있다. 이러한 사항들은 고정적인 것도 있으나 10년이나 1년을 단위로 바뀌기도 한다. 이렇게 알아낸 사주를 바탕으로 개운법을 써서 나쁜 운명을 좋은 운명으로 바꾸는데 좋은 이름, 길한 방위, 잘 맞는 궁합 등을 통해 조정하는 것이다. 사주는 균형과 조화의 원리로 인간사를 풀어보는 것이지만 이를 맹신하게 되면 자칫 숙명론에 빠지게 되는 폐단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원시/무속신앙

원시/무속신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사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