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사우디아라비아 역사

다른 표기 언어
아라비아 반도(Arabian Peninsula)

1914년 아라비아 반도

ⓒ Underlying lk/wikipedia | CC BY-SA 3.0

아랍족의 발생지는 중앙 아라비아와 북아라비아로 추측된다. 이슬람 이전 시대의 중요한 아라비아 부족으로는 홍해 연안 헤자즈 지방 북부에 자리잡고 살던 타무드족과, 데단과 그 주위에 살던 리히아니트족을 꼽을 수 있다. 아라비아 반도 외부의 아랍 민족들은 고대부터 아라비아를 지배하고 영향을 끼쳤다.

트란스요르단으로 알려진 지역에 자리잡고 있던 라흠 왕조는 아랍어를 공용어로 사용한 최초의 왕국으로 남아라비아의 국경지대까지 그 세력이 미쳤다. 중앙 아라비아 서부의 킨다 국이 4세기와 5세기에 라흠 왕조로부터 중앙 아라비아 대부분의 지배권을 강제로 빼앗았으나 528년에 다시 밀려났다.

622년 메카에 거주하는 쿠라이시가(家)의 마호메트가 알라 신(神)을 유일신으로 설교하면서 메디나로 이주하여 이슬람교를 창시했다. 이로써 서구세계의 3대 일신교 가운데 가장 늦게 이슬람교가 성립되었다. 마호메트는 메디나에서 더욱 많은 신도를 얻었으며 메카로 돌아와 이곳을 점령하고 메카·메디나 두 곳을 자신이 창시한 새 종교의 성지로 삼았다. 그러나 661년 이슬람 왕조 우마이야가 다마스쿠스를 수도로 삼아 건국함으로써 이슬람교의 정치 중심지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다마스쿠스로 넘어갔다.

마호메트(Muhammad)

마호메트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는 그림

ⓒ Rashid al-Din / WIKIPEDIA | Public Domain

중세 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의 지배권을 차지하려는 내부·외부의 지배자들 간에 끊임없는 각축전이 벌어졌다. 이들 대부분은 칼리프에게 충성을 맹세했으나 자치를 보장받았으며 사실상 독립되어 있었다. 1517년 오스만 제국이 정권을 인수하기 전까지는 아라비아에서 카르마트파(派), 파티마조(朝), 셀주크 왕조, 아이유브조, 맘루크조 등 여러 세력 사이에 싸움이 끊이지 않았다.

아라비아의 현대사는 오스만 통치에 대한 반감이 증대되고 18세기초에 종교개혁 운동이 일어나면서 시작되었다. 1745년 무하마드 이븐 아브드 알 와하브가 이슬람의 외적 형식주의와 근대주의를 탈피하고 〈코란〉에 밀착하는 교리 엄수주의를 제창하기 시작했다. 그는 디리야의 무하마드 이븐 사우드 왕의 지지를 받았고, 그결과 와하브주의 운동이 아라비아 반도에 널리 퍼져나갔다(→ 와하비). 이들은 오스만 제국과 이집트의 저항으로 난관에 부딪혔으나 싸움은 19세기 내내 계속되었다.

1904년까지는 이븐 사우드(아브드 알 아지즈 2세) 왕에 의해 중앙 아라비아(나지드 지방)의 원래 사우디의 영토 모두를 되찾았다. 1915년 이후 사우디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가 1927년 헤자즈와 나지드 왕국의 독립과 주권을 인정받았다. 두 왕국은 1932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의 팔레스타인 해방운동을 지지하고 미국과 긴밀한 유대를 유지해오고 있으며, 석유수출국기구(OPEC)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981년 사우디아라비아는 페르시아 만 연안의 여러 나라를 포함하는 하나의 지역 경제·방위 협정인 페르시아 만 협력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GCC)의 중심지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사우디아라비아 역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