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사우디아라비아 정치와 사회

다른 표기 언어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우드 왕가가 지배하는 절대군주제 국가이다.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Salman bin Abdulaziz Al Saud)

사우디아라비아 왕

ⓒ Georgethewriter/wikipedia | Public Domain

왕족의 핵심구성원들이 왕을 선출하며 울라마라고 불리는 이슬람교 지도층의 동의를 받는다. 왕은 이슬람 법, 즉 샤리아에 따라 통치하며 왕의 제반 결정사항들은 왕족, 울라마, 주요부족의 지도자들, 군(軍), 관료집단 등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 왕은 정책을 결정하고 관료집단을 이끌어나갈 내각을 임명한다. 사법제도는 이슬람법 샤리아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왕은 국가 최고의 상소법원 역할을 한다. 군대는 미국과 여러 서구국가들로부터 정교한 무기들을 구입함으로써 크게 현대화되었다. 징병은 지원제로 이루어진다.

정부의 사회복지제도는 모든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실직·산업재해·질병·출산·신체장애·노령 등의 경우에 보조금을 지급한다. 또한 모든 국민과 외국인 거주자들에게 무료로 의료혜택을 주고 있으며 리야드 교외에 있는 '킹 파이잘 메디칼 시티'에는 세계 최신의 의료장비들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보건 및 공중위생 상태는 일반적으로 열악한 편이다. 말라리아·트라코마·결핵·이질·콜레라 등의 질병이 지금도 곳곳에서 발병하고 있다. 유아사망률은 중동 내부에서도 비교적 높은 편이고 평균수명은 겨우 56세이다. 이런 보건상의 제반 문제들은 의료 요원의 부족으로 더욱 나빠지고 있다.

교육은 모든 학생들에게 무상으로 실시된다. 교육제도는 6년제 초등교육, 3년제 상급 초등교육, 3년제 중등교육으로 이루어지며, 고등교육기관으로는 2년제 기술·상업 대학과 4년제 종합대학교가 있다. 일부 소수 학생들은 외국 유학을 위한 장학금을 받는데 국내로 돌아와 일해야 할 암묵적 의무가 부과된다.

15세 이상의 국민 중 약 50%라는 높은 문맹률에도 불구하고 아동취학이 의무로 되어 있지는 않다. 신문사는 민간인 소유지만 대부분의 사우디 사회가 그렇듯이 정치적으로 보수적 성향을 띠고 있어 정부에 대한 비판은 거의 하지 않는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일간지 중의 하나인 〈알마디나 알무나와라 al-Madinah al-Munawara〉는 왕가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라디오와 텔레비전은 국영이다.

KAUST 실험실

KAUST 실험실 건물 전경

ⓒ A. T. Service/wikipedia | CC BY-SA 3.0

사우디 아라비아 대학 건물

ⓒ ARMBRUST/wikipedia | CC BY 3.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중동

중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사우디아라비아 정치와 사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