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사디

다른 표기 언어 Sa'di 동의어 무샤리프 옷딘 무슬리흐 옷딘, Musharrif od-Dīn Muṣlih od-Dīn
요약 테이블
출생 1213경, 이란 시라즈
사망 1291. 12. 9, 시라즈
국적 페르시아

요약 페르시아의 시인.
본명은 Musharrif od-Dīn Muṣlih od-Dīn.

사디(Sa'di)

ⓒ Attributed to Govardhan/wikipedia | Public Domain

페르시아 고전문학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 중의 하나이다.

어려서 아버지 모슬레흐 옷딘을 잃었다. 그후 바그다드에 있는 유명한 네자미예대학에 유학했고, 거기에서 이슬람에 대한 전통적인 지식을 얻었다. 몽골이 페르시아를 침략하여 정세가 불안정했으므로 사디는 아나톨리아·시리아·이집트·이라크 전역을 방황했다. 그는 인도와 중앙 아시아로 여행했다고 작품 속에서 언급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북아프리카에서 사디는 프랑크족에 잡혀 트리폴리 요새의 참호에서 일을 했다. 고향인 시라즈에 돌아왔을 때는 이미 초로의 노인이 되어 있었다. 그는 시라즈에서 여생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 사디라는 필명은 지방 아타베그, 즉 토후인 사드 이븐 장기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는 〈과수원 The Bostbn〉(1257)·〈장미정원 The Gulistan〉(1258)이 있다. 〈과수원〉은 서사시적 운율을 지닌 완전한 운문시이며, 이슬람교도들에게 추천하는 기본덕목(정의·관대·겸손·만족)을 적절하게 표현한 이야기일 뿐 아니라, 이슬람교 테르비시들의 행위와 무아경의 관행에 대한 고찰로 구성되어 있다. 〈장미정원〉은 주로 산문체이며 일화나 개인적인 기담(奇譚)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는 격언, 충고, 해학적인 생각 등을 담은 다양한 짧은 시들을 군데군데 삽입하고 있다. 〈장미정원〉에서 설파하는 도덕은, 선의의 거짓말은 선동적인 진리보다 더 낫다는 것을 인정하는 편의주의와 유사하다. 사디는 인간 실존의 모순성에 대해 깊이 의식하고 있었다. 왕의 변덕스런 기분에 좌우되는 사람들의 운명은 데르비시들의 자유로움에 대비시켰다.

서유럽의 학생들은 주로 〈과수원〉·〈장미정원〉에 특별한 흥미를 느끼지만 사디는 훌륭한 찬양시인이자 서정시인으로도 기억되고 있다. 인간의 경험을 그려내는 훌륭한 일반적 송시를 많이 지었고, 1258년 몽골 침입 이후 바그다드의 몰락을 비탄스러워한 특별한 송시도 지었다. 사디의 서정시들은 그의 저서 〈서정시 Ghazalῑyāt〉·〈송시 Qaṣā⁽id〉에서 발견된다.

그는 또한 많은 아랍어 작품으로도 유명하다. 딱딱한 양도논법을 피하려는 작품 경향과 함께 작품 속에 묘사한 인간의 친절과 냉소주의의 독특한 배합·해학·체념 등의 특성 때문에 그는 이란 문화권 내에서 가장 전형적이고 사랑받는 작가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사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