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부산성

다른 표기 언어 富山城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에 있는 신라시대 석축산성.

사적 제25호. 둘레 4,977m. 부산성, 주사산성이라고도 한다. 경주의 서쪽에 있으며, 높이 700m 정도의 오봉산 정상을 중심으로 골짜기를 둘러싼 포곡식 산성이다. 〈삼국사기〉와 〈세종실록〉 지리지에 따르면, 663년(문무왕 3) 정월에 축조했으며, 산성 안에는 연못 1개, 계천 4개, 우물 9개가 있었다고 한다.

이곳은 경주에서 대구로 통하는 전략의 요충지로서, 선덕여왕 때 백제 군사가 이 산을 넘어 옥문곡까지 침입한 일이 있은 후에, 도성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남산신성의 장창을 축조하면서 동시에 쌓은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 성은 서쪽에서 침입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경주의 외곽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석축은 가공하지 않은 안산암 석재를 써서 안팎을 쌓아올리고 내부에는 잡석을 채우는 협축법으로 쌓았다. 지금은 대부분 무너져서 형태를 찾기가 힘들 정도로 파손되어 있다. 다만 남문터를 비롯해 군창터·연병장터·주암사터 등 건물터와 우물터·못·암문터 등이 남아 있을 뿐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신라

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부산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