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뻐꾸기

다른 표기 언어 common cuckoo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조강 > 뻐꾸기목 > 뻐꾸기과 > 뻐꾸기속
원산지 아시아 (중국,대한민국)
서식지 산림
먹이 매미, 나비, 송충이, 꿀벌, 파리, 딱정벌레
크기 약 30cm ~ 33cm
무게 약 82g ~ 104g
학명 Cuculus canorus
식성 잡식
임신기간 약 10~12일
멸종위기등급 낮은위기

요약 두견목 두견과에 속하며 한국 전역에 찾아오는 흔한 여름새. 머리·턱·등은 청회색, 멱과 윗가슴은 회색, 배는 흰색에 짙은 회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주로 곤충을 먹으며, 특히 송충이 등 모충을 즐겨 먹을 수 있도록 위벽이 발달했다. 번식 후에는 남하한다.

뻐꾸기

ⓒ WIKIMEDIA COMMONS (nidhingpoothully) | cc-by

개요

두견목 두견과에 속하며 한국 전역에 찾아오는 흔한 여름새. 학명은 Cuculus canoru이다. 한국에는 아종인 쿠쿨루스 카노루스 텔레포누스가 분포하는데, 이 아종은 시베리아·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번식 후 동남아시아로 남하하여 겨울을 난다.

형태

머리·턱·등은 청회색, 멱과 윗가슴은 회색, 배는 흰색에 짙은 회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드물게 보이는 갈색 암컷의 등은 검은색 띠무늬가 있는 밤색이며, 아래쪽은 검은색 띠무늬가 있는 붉은빛 도는 담황색이다.

생태

산란기는 5월 하순에서 8월 상순이며, 다른 새(개개비·멧새·노랑때까치·붉은뺨멧새 등)의 둥지마다 1개씩 알을 낳아 새끼 키우는 일을 맡긴다. 10~12일쯤 지나 먼저 부화되어 다른 알들을 밀어내고 1~2일 만에 둥지를 독점하여 20~23일간 다른 새의 먹이를 받아먹고 자란 후 둥지를 떠난다. 둥지를 떠난 후에도 7일 이상이나 먹이를 받아먹는다. 한 개체의 암컷이 12~15개의 알을 12~15개의 둥지에 낳는다. 뻐꾸기류는 주로 곤충을 먹으며, 특히 송충이 등 모충을 즐겨 먹을 수 있도록 위벽이 발달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25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뻐꾸기


[Daum백과] 뻐꾸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