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체제

다른 표기 언어 Wiener System 동의어 메테르니히 체제, Metternichsches System

요약 나폴레옹 전쟁의 전후처리를 통하여 만들어진 지배체제.

오스트리아의 메테르니히 재상이 주도했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메테르니히 체제라고도 한다. 나폴레옹 전쟁에 승리한 유럽의 군주와 귀족 등 복고세력들은 프랑스 혁명이 일으킨 여파를 진압하기 위해 빈 회의가 만들어낸 국제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이 체제를 필요로 했는데 이 체제의 구체적 결과가 신성동맹과 4국(四國)동맹이라는 2개의 기둥이었다.

신성동맹은 빈 체제의 이데올로기를 마련했고 4국동맹은 여러 강대국 사이의 군사적·외교적 협의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 강대국의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빈번히 만나 국제적인 현안들을 처리하기 위한 합의를 도출해냈다. 그러나 곧 신성동맹의 원리에 의거하여 결집한 동구의 3국(러시아·오스트리아·프로이센)과 혁명간섭을 싫어한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는 입장의 차이가 생겨 4국동맹은 분열상을 보였다.

이들 강대국의 이해대립을 이용하여 그리스는 독립을 쟁취했고, 또 선진자본주의국으로서 국가 이익을 추구한 영국의 외교정책에 힘입어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들은 빈 체제로부터의 간섭을 면할 수 있었다. 1830년에 프랑스에서 7월혁명이 일어나 빈 체제는 더욱 크게 분열되었다. 프랑스와 영국은 서로 동맹을 맺어 자유주의의 기치를 높이 쳐들었고 동유럽 3국은 3국 비밀협상을 맺어 신성동맹의 부흥을 노렸다. 그러나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그것이 1848년의 혁명으로 분출되자 빈 체제는 붕괴되었다.

빈 체제(Wiener System ) 1815년의 유럽

ⓒ Alex:D/wikipedia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

정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빈 체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