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빈맥

다른 표기 언어 tachycardia , 頻脈

요약 빈맥은 정상적으로는 운동할 때와 그 직후 또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난다. 그러나 뚜렷한 원인 없이 빈맥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처럼 심장박동 리듬이 불규칙한 경우를 부정맥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부정맥은 심장에 박동을 일으키는 전기 충격이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빈맥은 박동 시작 지점에 따라 심방성·심실성·결절성 등으로 나뉜다. 빈맥의 주요증상으로는 피로, 실신, 어지럼증, 호흡곤란, 가슴에서 심장이 고동치거나 떨림을 느끼는 것 등이다. 빈맥인 경우 심장은 매분 240회까지 박동할 수 있다. 발작성빈맥은 해가 없으나, 다소성심방빈맥이나 심실성빈맥 등은 심각한 심장·폐·순환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며 즉각적인 치료를 요한다. 더 심한 빈맥은 심방세동이나 심장발작을 예고할 수도 있다.

빈맥(tachycardia)

심장이 빠른 속도로 박동할 때의 부정맥을 빈맥이라함.

ⓒ Madhero88/wikipedia | CC BY-SA 3.0

빈맥은 생리학과 의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정상적으로는 운동할 때와 그 직후 또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데, 건강한 사람에게는 아무런 위험이 없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뚜렷한 원인없이 빈맥이 발생하며, 이처럼 심장박동 리듬이 불규칙한 경우를 부정맥이라고 한다.

부정맥(arrhythmia)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형태

ⓒ geralt/Pixabay | Public Domain

대부분의 부정맥은 심장에 박동을 일으키는 전기 충격이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정상적으로 전기충격은 동방결절에서 시작하는데, 박동 시작 지점이 동방결절이 아닌 심장 내의 다른 곳으로 이동했을 때 부정맥이 나타나며, 심장이 빠른 속도로 박동할 때의 부정맥을 빈맥이라 부른다. 빈맥은 박동 시작 지점에 따라 심방성·심실성·결절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모든 빈맥의 주요증상으로는 피로, 실신, 어지럼증, 숨가쁨, 가슴에서 심장이 고동치거나 떨림을 느끼는 것 등이다. 빈맥인 경우 심장은 매분 240회까지 박동할 수 있다.

발작성빈맥은 해가 없으며, 몇 분 또는 몇 시간 지속되다가 저절로 사라지고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는다. 다소성심방빈맥이나 심실성빈맥과 같은 형태는 대개 심각한 심장·폐·순환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며 즉각적인 치료를 요한다. 더 심한 빈맥은 심방세동이나 심장발작을 예고할 수도 있다.

빈맥은 일단 환자를 눕히고 다른 기본적인 신체상태를 측정하고, 심장이 규칙적인 율동을 회복하도록 전기자극을 가하거나 퀴니딘(quinidine)·아트로핀(atropine)·리도카인(lidocaine)·프로카인아마이드(procainamide)등과 같은 항부정맥약을 투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빈맥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