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누의 제조

다른 표기 언어

원료와 첨가제

알칼리: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이 주로 이용되며, 수산화칼륨도 쓰인다. 용해성은 칼륨 비누가 더 좋다.

② 지방과 기름:비누거품 형성이 느린 지방(우지·팜유), 비누거품 형성이 빠른 지방(코코넛 기름, 바바수 기름, 커늘유), 연비누를 만드는 기름(올리브 기름, 콩기름, 땅콩기름), 로진, 탈유 등이 이용된다.

③ 광학표백제:대부분의 가시광선을 반사시켜서 세탁이 끝난 섬유에 광학적 표백효과를 준다.

④ 킬레이트제: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나 그외 나트륨염들로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이온의 작용을 방지한다.

연마재:실리카·대리석·화산재·모래 등의 불용성 물질들이 분말 형태로 첨가된다.

제조법

① 가열법:중·소 규모의 생산방법이며, 비누화 솥에 유지를 넣고 가성소다를 점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생증기(生蒸氣)로 가열해 비누화시키는 방법이다.

② 연속생산-가수분해법:가열법에 비해 시간이 절약되고 지방산과 직접 비누화 반응을 일으키므로 전체 공정이 쉽고 정확하다.

③ 냉·반가열 방법:냉법은 주로 코코넛 기름이나 팜유를 알칼리와 혼합하여 그대로 비누화,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알칼리가 약간만 부족해도 비누제조 후 기름성분이 잔존하게 된다. 반가열 방법은 비누화 솥의 기름과 알칼리를 가열은 하나 끓이지 않는 방법으로 소규모 제조시에 이상적이다.

④ 마무리작업:세탁비누는 틀에서 냉각시키거나, 냉각공정을 거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상표를 찍는다. 화장비누는 향기·색 등을 처리하여 진공 건조시킨 후 냉각하여 고형화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화학

화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비누의 제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