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불영사

다른 표기 언어 佛影寺

요약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하원리 천축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천축산불영사기 天竺山佛影寺記〉에 의하면 651년(진덕여왕 5)에 의상(義湘)이 창건했다고 하며 다음과 같은 창건설화가 전한다.

즉 의상대사가 동해로 향하고 있는데 계곡에 어린 오색의 서기를 발견하고 가보니 연못 안에 9마리의 용이 있었다. 이에 도술로 가랑잎에 '火'자를 써서 연못에 던지니 갑자기 물이 끓어올라 용들이 견디지 못하고 도망을 친 자리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그뒤 의상대사가 다시 불영사를 방문할 때 한 노인이 '부처님이 돌아오시는구나'라고 하여 불귀사라고도 불렸다. 창건 이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했는데, 1396년(태조 5)에 나한전만 빼고 모두 소실된 것을 이듬해에 소설이 중건했다.

임진왜란 때 다시 영산전만 남고 모두 전소된 것을 1609년에는 성원이, 1701년에는 진성이, 1721년에는 천옥이 중건했다. 현존 당우로는 응진전(보물 제730호)·대웅보전(보물 제1201호)·극락전·명부전·조사전·칠성각·응향각 등이 있다. 이밖에 3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양성당부도·불영사사적비 등이 있다.

서면 불영사

경북 울진군 서면 하원리 천축산에 위치한 절.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불영사응진전

불영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건물. 보물 제730호. 앞면 3칸, 옆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자연석으로 허튼층쌓기를 했는데 지형에 따라 안쪽은 높고 뒤쪽은 낮게 조성했다. 자연 그대로의 주춧돌에 약간의 배흘림이 있는 기둥을 세웠으며, 가운데 칸에는 4분합문을 달았고 양쪽 협칸은 벽으로 되어 있다. 공포는 다포계인데 건물의 4면에 모두 포작을 짜올렸으며, 첨차와 쇠서 등에는 조선 초기의 수법이 남아 있지만 전체적으로 조선 중기의 특징을 보여준다. 건물 내부에는 출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 모두 불단을 설치했다. 1984년 건물을 해체·보수할 때 중수상량문이 나왔으며, 종도리 밑에서는 1716년에 쓴 묵서명이 발견되어 1578년 이후 5차례의 보수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서면 불영사 응진전

경북 울진군 서면 하원리 천축한 불영사 응진전(보물 제730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불영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