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북한해류

다른 표기 언어 North Korea Cold Current , 北韓海流

요약 함경남도·함경북도의 해안을 따라 남류하는 한류.

유속이 0.2~0.5kn(노트) 정도이며, 해수의 흐름이 매우 명확하다.

오호츠크 해 방면에서 남하하는 리만 해류는 연해주 부근에서 2갈래로 갈라지는데, 그 한 갈래가 동해안을 따라 남류하는 북한해류이고, 또다른 한 갈래는 동해의 중앙부를 흐르는 동해중앙해류이다. 그러나 북한해류와 동해중앙해류는 성질이 다른 별개의 해류로 취급한다.

북한해류는 경상북도 연안부터는 표층으로부터 가라앉아 하층류(下層流)로 변해, 영일만 이남에서는 표층류로 나타나지 않는다. 겨울에는 경상북도 영일만 부근까지 세력이 확장되고, 여름에는 강원도(북한) 고성군 수원단까지 영향을 미친다. 북한해류는 수원단 근처에서 남쪽에서 북상하는 동한해류와 만나 조경수역을 형성한다. 이곳에는 플랑크톤의 수직적 순환이 왕성하게 일어나 영양물이 풍부해지므로 이를 찾아 어족이 회유해온다.

또한 북한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한류성어족인 명태·대구·청어 등과 동한해류를 따라 이동하는 난류성어족인 꽁치·멸치·방어·삼치·고등어·오징어·정어리 등이 함께 성장·번식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어족이 풍부하며, 해류의 세력권에 의해 계절에 따른 어기(漁期)가 둘로 나뉘는 특징을 보인다. 북한해류의 영향으로 선봉(예전의 웅기)·청진·김책(옛 성진) 등의 북동해안은 4~8월경에 짙은 안개가 발생해 해상활동에 큰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북한해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