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경기도 화성시 북양동 무봉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진덕왕대에 창건되었으며, 절 이름은 창건 당시 궁궐에서 기르던 새들이 절 근처의 숲에 앉은 데서 붙여졌다. 그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봉향각·망향루·범종각·요사채 등이 있다. 고려 말기에 제작된 불상(보물 제980호)이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봉림사목조아미타불좌상
봉림사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시대 목조불좌상. 보물 제980호. 높이 88.5㎝.
1978년 이 불상을 개금할 때 복장(腹藏)에서 여러 권의 사경과 함께 〈조성개금기 造成改金記〉가 발견되어 1362년(공민왕 11) 이전에 조성된 무량수불(無量壽佛), 즉 아미타불임이 밝혀졌다. 얼굴은 둥글고 살진 형으로 이목구비가 중앙으로 몰려 있으며 표정에 생동감이 줄어들고 경직되어 침울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다. 손 모양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하품중생인을 했는데 오른손은 정면으로 들어올리고 있어 문수사(文殊寺) 금동불좌상(1346)과 장곡사(長谷寺) 금동약사불좌상의 자연스러운 하품중생인 표현과 차이가 있다.
신체는 풍만한 편이나 목과 상체가 넓고 각진 점이 특이하다. 대의를 걸친 모습이 문수사의 불상과 같은 형식이나 왼쪽 가슴에 보이는 승각기 치레장식과 가슴에 두른 띠와 매듭이 없는 점, 어깨의 옷주름이 좀더 번잡스러워진 점이 다르다. 무릎에서 발목으로 향해 몰려 있는 주름이나 왼쪽 어깨와 배 앞에 몰려 있는 옷주름에서 과장된 표현과 도식화의 경향이 보인다. 이 상의 얼굴 모습, 신체비례와 자세의 변화, 조각기술의 쇠퇴에서 오는 옷주름의 형식화 경향 등은 조선시대 조각양식의 일면을 이미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상은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좌상이나 장곡사 금동약사불좌상과 비교해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고려말에서 조선초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불상양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