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복혼제

다른 표기 언어 polygamy , 複婚制 동의어 일부다처혼, 一夫多妻婚, polygyny, 일처다부혼, 一妻多夫婚, polyandry, 집단혼, 集團婚, group marriage

요약 동시에 둘 이상의 배우자를 취할 수 있는 결혼.

둘 이상의 아내를 두는 일부다처제(一夫多妻制)와 둘 이상의 남편을 두는 일처다부제(一妻多夫制) 등 2가지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 용어는 한때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볼 수 있었던 일부다처제와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복혼제를 금지하든 선호하든 간에 결혼하기에 적합한 여성을 여러 명 찾기란 어려우며 여러 명의 아내나 여러 가정을 충분히 부양할 만한 능력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남자들은 단혼 형태의 결혼을 한다.

남자 입장에서 보면 복혼제에는 몇 가지 이점이 있다. 첫째, 많은 아내들이 가정의 부를 증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성생활의 상대를 구하기 쉽다. 특히 임신과 수유 기간에 부부의 금욕을 요구하는 문화권에서는 특히 더 이점이 된다. 셋째, 대가족을 거느리게 되면 사회적 지위와 위신이 높아진다. 특히 미혼여성에게 사회적으로 제도화된 역할이 주어지지 않는 사회에서 남아 도는 여자들은 일부다처제를 바람직한 생활방식으로 여기게 될 수도 있다. 노동을 분담하는 일 역시 여성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일부다처제를 택하게 되는 요인 가운데 하나가 된다.

남녀 모두에게 일부다처제가 주는 장점이 어느 정도 있음에도 일부다처제 형태의 가족 속에서는 말다툼과 성적인 질투 등 갈등이 끊이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통 첫번째 부인이 큰부인 역할을 맡게 되며 여러 아내들과 자녀들은 각각 독립된 공간에서 생활하게 된다. 개발도상국들의 경우 일부다처제는 경제적 변화, 도시화, 대중교육 등의 결과로 점점 사라지게 되었다. 또 서구식 생활방식에 따른 사회적 위신과 서구 여성운동의 영향 역시 일부다처제가 사라지는 데 이바지했다.→ 단혼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사회문화/현상

사회문화/현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복혼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