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복굴절

다른 표기 언어 double refraction , 複屈折

요약 빛은 결정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더라도 굴절하지만 결정축이라고 알려진 결정의 대칭축에 평행하게 들어갈 때는 갈라지지 않는다. 이 방향을 광축이라고 부르며 결정축에 평행하게 결정 전체에 걸쳐서 가상적인 선으로 나타낸다.
1699년 바르톨리누스가 방해석에서 처음 발견했다. 방해석·얼음·운모·석영·설탕·전기석 등의 결정들은 복굴절현상을 보인다. 이상광선의 굴절률이 광축에 수직인 곳에서 최소값을 나타내는 방해석과 같은 결정들은 음의 복굴절을 가지지만 석영과 같이 이상광선의 굴절률이 광축에 수직인 곳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면 양의 복굴절을 가진다.
물질 안에서 광속은 진공에서의 광속을 굴절률로 나눈 것과 같으므로, 석영에서보다 방해석에서 정상광선이 이상광선보다 빠르게 된다.

복굴절(double refraction)

ⓒ Eb.hoop/wikipedia | Public Domain

이 갈라진 빛들 중의 하나(이상광선[異常光線]이라고 함)는 결정면에 수직으로 빛이 들어가더라도 굴절한다. 그러나 결정축(結晶軸)이라고 알려진 결정의 대칭축에 평행하게 빛이 들어간다면, 그 빛은 갈라지지 않는다. 이 방향을 광축(光軸)이라고 부르며 결정축에 평행하게 결정 전체에 걸쳐서 가상적인 선으로 나타낸다.

등축정계를 제외한 모든 투명한 결정들은 복굴절현상을 보인다.

방해석·얼음·운모·석영·설탕·전기석(電氣石) 등은 잘 알려진 몇 가지 예이다. 만약 연필로 그은 선을 유리로 덮는다면 1개의 상(像)만이 보일 것이나, 어떤 특정한 방향성을 가진 방해석으로 덮는다면 2개의 선이 관찰될 것이다. 또한 결정에 수직으로 평행광선이 들어간다면 스크린 위에 2개의 밝은 점이 보일 것이고, 빛의 방향을 축으로 하여 결정을 돌리면 정지해 있는 1개의 밝은 점 주위로 다른 1개의 점이 회전할 것이다. 그림은 방해석에서의 복굴절을 보여준다. AB가 나타내고 있는 것은 결정의 주단면(主斷面:즉 결정면들 중의 하나에 수직이고 광축을 포함하는 면)이다. C에서 결정면 위로 들어간 빛은 정상광선인 CO선과 이상광선인 CE선으로 갈라진다. 복굴절에서 2개의 빛 중 정상광선인 빛에 대해서는 굴절률(각각의 매질에서 굽어지는 각을 상대적인 값으로 표시한 수)이 그 빛이 들어가는 방향에 상관없이 일정하나 이상광선은 그 빛의 방향에 따라서 굴절률이 변한다. 이상광선의 굴절률이 광축에 수직인 곳에서 최소값을 나타내는 방해석과 같은 결정들은 음(陰)의 복굴절을 가진다고 한다. 그러나 석영과 같이 이상광선의 굴절률이 광축에 수직인 곳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면 양(陽)의 복굴절을 가진다고 한다. 물질 안에서 광속은 진공에서의 광속을 굴절률로 나눈 것과 같으므로, 석영에서보다 방해석에서 정상광선이 이상광선보다 빠르게 된다. 정상광선과 이상광선을 편광(偏光)시키면 두 파(波)들의 면들은 서로 수직이고 정상광선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특징이 있다(→ 광탄성).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물리

물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복굴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