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시각예술의 유파.
1346년부터는 보헤미아의 왕인 카렐 4세의 후원으로, 1355~78년에는 신성 로마 황제의 후원으로 프라하와 그 주변에서 전개되었다.
카렐이 주로 거주했던 프라하에는 외국의 미술가들과 지방의 대가들이 많이 모여들었다. 프라하는 주로 채색 필사본의 수입을 통해 프랑스와 이탈리아 북부의 미술전통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지만 활기에 찬 보헤미아 전통의 건축과 독특하고 독자적인 회화 양식을 낳았으며 14세기 유럽의 후기 고딕 미술, 특히 독일 미술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보헤미아파의 주요 건축기념물로는 프라하에 있는 카렐 궁전(카를스타인 성)과 스바티비타 대성당이 있다.
대성당과 카를스타인 성의 일부는 플랑드르의 숙련된 석공인 마티외 다라스가 전통적인 프랑스식으로 설계를 시작했다. 1352년 마티외가 죽자 독일의 유력한 건축가인 페트르 파를레르슈가 이 작업을 이었는데, 그는 이 대성당에 처음으로 장식 볼트를 사용하여 15세기 독일의 후기 고딕 건축의 발전을 위한 출발점을 마련해주었다.
카렐은 채색 필사본을 수집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많은 신하들이 그것들을 수집했다. 주로 외국의 대가들에 의해 제작된 뛰어난 작품들은, 밝고 연한 색을 사용하고 원근법에서 형태를 과장하여 축소시킨 점에서 당시 이탈리아의 필사본 장식에 가까웠지만 보헤미아의 고유한 장식적 요소들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보헤미아파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프레스코와 패널화였다(패널화). 보헤미아파의 화가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각각 특징이 뚜렷한 세 시기의 미술가들을 대표하는 것으로 보이는 몇 명의 인물들은 식별이 가능하다.
보헤미아파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전에는 카렐을 위해 많은 패널화를 그린 이탈리아 북부 출신의 화가 톰마소 다 모데나가 큰 역할을 해왔으나 그의 작품은 초기 보헤미아파 화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호엔푸르트 제단화의 거장'(또는 '비시 브로드 사이클의 거장')을 비롯해 1350년대에 활동한 초기 보헤미아파 화가들은 이미 보헤미아파의 그림의 특징인 짙은 명암을 보이고 있지만 시에나파의 우아한 양식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다.
한편 톰마소의 양식은 보헤미아 미술가들의 제2세대(1360경~80경 활동)이자 아마도 보헤미아파의 중요한 대가였던 프라하의 테오도리쿠스의 양식을 형성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테오도리쿠스는 카렐에게서 카를스타인 성에 있는 성십자가의 예배당을 장식하는 일(1357~67경)을 위임받고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상 1점과 성자들을 다룬 많은 패널화들을 그렸다.
이 작품들은 시에나파의 영향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것에 나타난 자연주의와 심리적 통찰력 및 충실한 입체적 표현법 등을 볼 때 톰마소 다 모데나의 그림들과도 매우 비슷하다. 테오도리쿠스의 작품들에서는 입체감이 뚜렷이 강조되어 나타나는데, 둥근 얼굴과 두껍고 무거운 옷주름을 엄숙하고 양감있게 표현한 이른바 차분한 양식은 15세기에 이르러 독일의 주요 회화양식이 되었다.
1360년경 프라하의 엠마우스 수도원에서 활동한 다른 미술가들은 그리스도의 생애를 다룬 매우 뛰어난 프레스코들을 그렸는데, 이것들은 깊고 빈틈없는 구성에 부드럽고 화려한 옷주름의 표현, 실재감있는 인물들의 표현이 특징적이다.
제3세대의 미술가들(1380경~90경 활동)을 대표하는 보헤미아파 최후의 주요미술가는 '비팅가우의 거장'(또는 '트레본 제단의 거장')이었다. 그의 주요작품으로는 원래 1380경 트레본(독일어로는 비팅가우) 시를 위해 그리스도의 수난 장면을 그린 비팅가우 제단화들이 있다.
그의 양식은 매끈한 표면 안에서 거의 추상적으로 강조된 간결하고 단단한 형태가 앞으로 돌출하거나 배경 속에 잠기면서 신비한 느낌을 주는데, 이것은 테오도리쿠스의 양식에서 발전한 것이다. 비팅가우 제단화에 나타난 격렬한 감정과 표현적인 명암법은 테오도리쿠스의 그림에서 먼저 엿보이고 있다. 그러나 '비팅가우의 거장'은 그의 선배들보다 당시 프랑스의 회화로부터 훨씬 더 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1378년 독일과 보헤미아의 유일한 통치자로서 아버지를 계승한, 카렐의 아들 벤체슬라우스는 당시 번창하고 있던 채색필사본의 유파를 후원했다.
그러나 15세기초에 이르러 제국 안에 심각한 정치적·종교적 충돌이 일어나면서 중요한 미술 중심지로서의 프라하의 역할은 쇠퇴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