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장왕

다른 표기 언어 寶臧王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682(신문왕 2)
국적 고구려, 한국

요약 고구려의 제28대 왕이자 마지막 왕으로 이름은 장 또는 보장. 제27대 영류왕의 아우인 태양왕의 아들로 642년 대막리지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살해하고 왕으로 옹립했기 때문에 그는 재위기간 동안 명목상의 왕에 불과했고 정치적 실권은 연개소문이 차지하고 있었다. 보장왕대에는 영류왕대의 온건한 외교정책과는 달리 당과 신라에 대해 모두 강경한 외교적 입장을 견지했다. 고구려는 662년 사수전투에서 연개소문이 당의 군대를 전멸시키는 대승을 거두기도 했으나 백제의 멸망으로 군사 활동이 용이해진 신라군과 당군의 양면 공격이 거듭되면서 668년 9월에 평양성이 함락되고 고구려는 멸망했다.

개요

이름은 장(藏)·보장. 제27대 영류왕의 아우인 태양왕의 아들이다.

642년 대막리지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영류왕을 살해하고 왕으로 옹립했기 때문에 그는 재위기간 동안 명목상의 왕에 불과했고 정치적 실권은 연개소문이 차지하고 있었다.

주변정세

당시 한반도에서는 고구려와 백제가 연결되어 신라를 공격하고 있었으며, 당(唐)나라는 중국을 통일한 뒤 대외적으로 세력을 확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세 속에서 보장왕대에 고구려는 영류왕대의 온건한 외교정책과는 달리 당과 신라에 대해 모두 강경한 외교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물론 즉위 초년에는 당과 화친을 맺고 당에서 도교를 수용하기도 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킨 후 정권을 안정시키려는 의도에서 나타난 일시적 현상이었다.

642년 신라는 김춘추를 고구려에 보내어 화친을 모색했으나, 한강유역을 되돌려줄 것을 요구하는 연개소문의 강경한 태도 때문에 실패했다. 그뒤 신라는 외교적 고립을 벗어나기 위해 당과의 외교관계에 주력했고, 당 역시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사신을 파견하여 고구려에 외교적 압력을 가했다. 마침내 645년 당태종은 직접 대군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침공하여 요동성을 비롯한 고구려의 10성을 함락시켰으나, 안시성싸움에서 대패하고 돌아갔다. 그뒤 당은 전략을 바꾸어 여러 차례 소규모 부대를 출동시켜 고구려를 침략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고구려의 멸망

당은 신라와 군사동맹을 맺어 660년 백제를 멸망시키고, 고구려를 협공했다. 고구려군은 계속되는 당군의 공격에 완강히 저항했으며, 662년 사수전투에서는 연개소문이 당의 장군 방효태와 그의 군대를 전멸시키는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백제의 멸망으로 군사 활동이 용이해진 신라군과 당군의 양면 공격이 거듭되자 고구려도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서서히 무너져갔다.

666년 연개소문이 죽자 그의 맏아들 남생이 뒤를 이어 대막리지가 되었는데, 동생인 남건·남산과의 사이에 불화가 일어나 동생들에게 쫓겨 국내성으로 물러났다. 그후 그는 당에 투항, 당의 고구려 침공에 길잡이가 되었다. 이러한 지배층의 분열과 함께 민심도 동요되어 보장왕 후기에는 고구려의 멸망을 예언하는 비기가 유포되었으며, 지방세력들도 이탈해갔다.

668년 부여지역의 40여 성이 당군에 항복했고, 9월에는 평양성이 함락되어 고구려는 멸망하고 말았다.

고구려 부흥운동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당은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고 고구려 유민의 부훙운동을 진압해가는 한편 보장왕을 비롯한 많은 고구려 유민을 당의 내지로 사민시켰다. 그러나 고구려 유민의 부흥운동이 치열하게 계속되자 677년 당은 보장왕을 요동주도독 조선왕으로 삼아 요동지방에 보내 무마시키고자 했다.

보장왕은 요동에 가서 오히려 고구려 유민을 모으고 말갈과 연결하여 고구려의 부흥을 꾀했기 때문에 당은 681년에 다시 보장왕을 소환했다. 682년 사망하여 당으로부터 위위경에 추증되었다. 아들로는 복남·임무·덕무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보장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