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스니아 위기

다른 표기 언어 Bosnian crisis of 1908

요약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발칸 지방의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함으로써 일어난 심각한 국제적 긴장상태(1908).

보스니아 위기(Bosnian crisis of 1908)

보스니아 위기를 주제로 한 프랑스의 잡지

ⓒ Supplément illustré du quotidien/wikipedia | Public Domain

베를린 회의(1878)를 통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일시적으로 점령 통치할 권리를 얻었지만 공식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 정부는 막대한 희생을 치르면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 지역 경제를 개선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기 위해 애썼다. 그런 가운데 1908년 7월 투르크 청년 당원들이 콘스탄티노플에서 혁명을 일으켜 입헌정부를 구성하고 개혁정책을 추진하자 오스트리아의 외무장관 알로이스 렉사 폰 에렌탈 백작은 투르크의 새로운 정권이 이 두 지역의 통치권을 손에 넣기 전에 합병하기로 결심했다.

에렌탈 백작은 1908년 9월 16일 모라비아의 부클라우에서 러시아 외무장관 알렉산드르 P. 이즈볼스키를 만나 러시아는 합병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동의를 얻어냈고, 그 대가로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을 러시아 군함에 개방하는 데 반대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러시아로서는 1841년부터 이 두 해협의 통과를 거부당해왔기 때문에 사실상 유리한 협상이었다. 1908년 10월 7일 발표한 칙령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다.

이즈볼스키는 오스트리아가 이처럼 급하게 합병할 줄 모르고 미처 대책을 세우지 못해 러시아에서 일어난 합병 반대의 강력한 움직임을 통제할 수 없었다. 더욱이 세르비아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와 지리적·민족적으로 가까운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이 합병에 크게 분노했다. 세르비아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일부를 세르비아에 할양해야 한다고 오스트리아에 요구했다.

이즈볼스키도 러시아의 반오스트리아 여론에 밀려 세르비아의 주장을 지지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동맹국인 독일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던 오스트리아는 만약 이 주장을 계속 고집한다면 세르비아를 침공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동맹국인 프랑스로부터 그만큼 강력한 지원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세르비아를 위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독일에 대항해 전쟁을 치를 수는 없었다. 결국 1909년 3월 이즈볼스키는 러시아가 오스트리아의 합병을 인정한다고 독일에 통지했다. 이 위기는 즉각적인 전쟁으로 치닫지 않고 해결되었지만, 그 결과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에 기만당하고 모욕당했다는 러시아의 분노는 적대감정을 불러일으켜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된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보스니아 위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