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보물4, 천연기념물 1, 중요민속자료 7, 중요무형문화재 1),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3, 기념물 9, 민속자료 2, 무형문화재 2), 문화재자료 7점이 있다.
선사시대의 유적이 다소 많은 편으로, 벌교읍·조성면에 고인돌 수백 기가 군집되어 있고, 문덕면·복내면 등지의 고인돌에서는 어망추 등 유물이 출토되었다.
성곽지로는 보성읍의 망미산성과 복홀군성, 벌교읍의 부용산성, 조성면의 조양현성, 득량면의 오봉산성 등의 산성지가 있다. 또한 대원사극락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7호)과 자진국사부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5호)·보성우천리3층석탑(보물 제943호)·보성유신리마애여래좌상(보물 제944호)·보성봉릉리석조인왕상(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4호)·보성봉천리5층석탑(보물 제1115호)·보성옥마리5층석탑(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보성반석리석불좌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2호)·보성계산리3층석탑(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등의 불교문화재가 있다.
한편 대계서원지와 보성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6호)가 대표적 유교문화재이며, 보성 이금재가옥(중요민속자료 제157호), 보성이용옥가옥(중요민속자료 제159호) 등 7채의 가옥이 중요민속자료로 보존되어 있다. 또한 벌교읍 벌교리의 홍교는 보물 제304호로 지정되어 있다. 유기제작의 장인인 유재덕은 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 유기장의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관광지는 없지만 홍교는 널리 알려진 관광자원이며, 불교문화재가 비교적 풍부한 대원사와 남해안에 위치한 율포해수욕장은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다. 또한 보성강의 상류지역인 제암산의 빼어난 자연경관과 산록에 자리잡은 잘 가꾸어진 녹색의 다원 경관이 좋은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보성군의 유물·유적·관광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