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성군의 연혁

다른 표기 언어

청동기·철기 시대의 유물들이 군내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삼한시대의 마한 54국 중 불운국(不雲國)을 이곳에 비정하기도 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복홀군(伏忽郡)이었으며, 757년(경덕왕 16)에 보성군으로 개칭,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이때 오아(烏兒)·마읍(馬邑)·계수(季水)·대로(代勞) 등을 영현으로 관장했다.

고려시대에는 995년(성종 14)에 패주(貝州)로 고쳤다가 현종 때에 다시 보성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시기에는 동복현·조양현·복성현·남양현·옥과현·태강현·두원현 등 7개현을 속현으로 포괄하여 넓은 영역을 관할했다. 조선시대에 들어 1441년(세종 23)에 조양현(兆陽縣)과 복성현(福城縣)을 제외한 대부분의 속현이 흥양현으로 이속되어 면적이 크게 축소되었다. 별호는 산양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나주부 보성군, 1896년에 전라남도 보성군이 되었다.

1908년에 낙안군이 폐지되면서 4개면이 편입되어 면적이 확대되었다. 다시 1914년의 군면 폐합에 의해 복내면·율어면·미력면·노동면은 그대로, 용문면·옥암면이 보성면으로, 겸어면·백야면이 겸백면으로, 봉덕면·문전면이 문덕면으로, 도촌면·송곡면이 득량면으로, 조내면·대곡면이 조성면으로, 옛 낙안군(樂安郡) 지역인 남상면·남하면·고상면·고하면이 벌교면으로 통합되었다. 또한 장흥군의 회령면·천포면이 통합된 회천면과 웅치면도 편입되었다. 1937년 벌교면이 읍으로, 1941년에 보성면이 읍으로 승격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라남도

전라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보성군의 연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