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변호인의 종류

다른 표기 언어

변호인에는 사선변호인과 국선변호인이 있다.

피고인 등 사인(私人)에 의해서 선임된 변호인을 사선변호인이라 하고, 국선변호인이란 국가기관인 법원에 의해서 선임된 변호인을 말한다. 피의자 또는 피고인은 구속·불구속을 불문하고 변호인선임권이 있으며(형사소송법 제30조 1항), 피의자 또는 피의자의 법정대리인·배우자·직계친족·형제자매·호주 등도 변호인선임권이 있다(동법 제30조 2항). 법정대리인·배우자 등의 변호인선임권은 독립대리권이다.

변호인을 선임하기 위해서는 변호인선임신고서를 수사기관 또는 법원에 제출해야 하며, 그 변호인선임신고서에는 선임자와 변호인이 연명·날인해야 한다(동법 제32조 1항). 변호인의 선임은 그 심급에 한하여 효력이 있다(동법 제32조 1항). 다만 공소제기 전에 변호인을 선임한 경우에는 그 변호인선임은 제1심에도 효력이 있다(동법 제32조 2항).

변호인선임의 효력은 피고인 또는 변호인의 이의가 없는 한 추가 기소되어 병합심리중인 사건에도 미치며(형사소송규칙 제13조), 원심법원에서의 변호인선임은 항소법원의 파기환송판결·파기이송판결에 의하여 사건이 원심법원 등으로 환송 또는 이송된 후에도 효력이 있다(동 규칙 제158조). 변호인선임신고서의 제출 전에 변호인으로서 행한 소송행위는 무효이나 소송행위 후에 변호인선임신고서가 제출된 경우에는 그 무효가 치유된다고 해석해야 한다.

사선변호인은 언제든지 사임할 수 있으며(사임의 자유), 피의자 또는 피고인은 사선변호인을 해임할 수 있다(해임의 자유).

사선변호인제도만으로는 당사자대등주의의 이념을 실현한다는 변호인제도의 취지를 살리는 데 불충분하므로 사선변호인제도를 보충하기 위해서 국선변호인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스스로 변호인을 구할 수 없는 형사피고인에 대한 국선변호인제도는 헌법상의 요청(헌법 제12조 4항 단서)이다.

국선변호인제도는 형사피고인에 대해서만 인정되며 형사피의자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법원이 국선변호인을 선정해야 할 경우는 ① 피고인이 미성년자, 70세 이상의 자, 농아자, 심신장애의 의심이 있는 자, 빈곤자로 사선변호인을 선임할 수 없는 경우(형사소송법 제33조 1~5호), ② 피고사건이 사형, 무기, 또는 단기 3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에 해당하고 변호인이 없거나 출석하지 아니한 때(동법 제282·283조), ③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한 피의자가 형사소송법 제33조 각 호의 사유에 해당하고 사선변호인이 없는 경우(동법 제214조의 2)이다.

재심의 공판절차에서는 국선변호인의 선정에 관한 특칙이 있다(동법 제438조 4항).

국선변호인의 선정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피고인 또는 피의자의 청구 유무를 불문하고 법원은 직권으로 국선변호인을 선정해야 한다. 다만 형사소송법 제33조 제5호의 경우에는 피고인의 청구가 있는 때에 한한다. 국선변호인의 선정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선변호인 없이 공판심리를 진행하여 유죄판결을 선고한 경우는 소송절차가 법률의 규정을 위반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경우이므로 항소이유(동법 제361조의 5 제1호) 또는 상고이유(동법 제383조 제1호)에 해당한다.

국선변호인은 원칙적으로 변호사 또는 사법연수생 중에서 선정하여야 하나(형사소송규칙 제14조 1·2항) 부득이한 때에는 변호사 아닌 자 중에서 국선변호인을 선정할 수 있다(동 규칙 제14조 3항). 변호사의 대도시 편중현상으로 인하여 변호사가 없는 지방, 이른바 무변촌(無辯村)이 적지 않은 한국의 실정을 고려하여 변호사 아닌 자에게 국선변호인의 예외적 자격을 인정하고 있다.

국선변호인으로 선정된 자는 법원의 허가를 얻어 사임할 수 있으며(동 규칙 제20조), 법원은 국선변호인의 선정을 취소할 수 있다(동 규칙 제18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변호인의 종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