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변춘식

다른 표기 언어 邊春植
요약 테이블
출생 1895. 8. 15, 황해 연백
사망 1932. 4. 21
국적 한국

요약 독립운동가.

박장호(朴長浩) 등이 만주에서 조직한 독립운동단체인 대한독립단에서 군자금 모금 및 황해도에서 독립운동을 방해하는 친일파 암살의 명령을 받고 파견된 민양기·이명서(李明瑞)·이근영(李根永)·박기수(朴基洙)·주의환(朱義煥)·이지표(李芝杓)·원사현 일행 중 민양기의 권유로 1920년 6월 평안북도 박천에서 박중서(朴重緖)와 함께 일행에 가담하고 행동을 같이 할 것을 응낙했다.

20일 박천을 떠나 진남포로 가는 도중, 대동군 용산면에서 대동경찰서 원장주재소에 근무하던 일경 모리모토[森本泰平]를 사살하고 진남포 쪽으로 피신했다. 28일 은율군 장연면 서부리 황윤상(黃潤相) 집에서 동지들과 회합하여 군자금 모금과 독립운동을 방해하는 친일파 은율군수 최병혁(崔炳赫), 군참사 고학륜을 처단하기로 결정했다. 8월 15일 밤 모두 3대로 나누어 이지표는 최병혁의 집으로, 민양기는 은율경찰서로, 고두환(高斗煥)은 고학륜의 집으로 출발했다. 이지표는 최병혁을 사살했으나, 고두환과 민양기는 실패했다.

9월 10일 신천군 초리면 도명리 노성우(盧聖祐)의 집에 은신중 일경에 포위되어 치열한 격전 끝에 일경 히라자와[平澤政治]에게 중상을 입혔으나, 이명서·박기수·주의환·원사현·이지표 등은 전사하고 그를 비롯하여 고두환·민양기·박중서·김정욱 등은 일경에 붙잡히고 말았다. 1921년 8월 해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3년 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변춘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