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틀렌

다른 표기 언어 Gábor Bethlen 동의어 가보르 베틀렌, 가보르 익타르 베틀렌, Gábor Iktár Bethlen, Gabriel Bethlen von Iktár
요약 테이블
출생 1580
사망 1629. 11. 15, 트란실바니아 디울로페이헤르바르
국적 헝가리

요약 트란실바니아의 군주.
정식 이름은 G대체이미지bor Ikt대체이미지ri Bethlen(Gabriel Bethlen von Ikt대체이미지r).

가블러 베틀렌 (Gábor Bethlen)

합스부르크 가문에 맞선 트란실바니아의 군주.

ⓒ Hello world/wikipedia | Public Domain

칼뱅교도였으며 잠시 헝가리의 이름뿐인 왕(1620. 8~1621. 12)에 올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페르디난트 2세에게 대항했다.

헝가리 북부의 명문 프로테스탄트 집안에서 태어난 베틀렌은 젊은시절에 지그몬드 바토리 대공(大公)의 궁정으로 보내졌다.

나중에 그는 이스트반 보치코이가 트란실바니아 왕위에 오르도록 도왔고 보치코이의 후계자인 가보르 바토리를 지지했다. 그러나 베틀렌은 바토리와 불화를 일으켜 투르크로 망명할 수밖에 없었다. 트란실바니아의 종주국인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술탄 아메드 1세는 베틀렌에게 군대를 주고 그를 트란실바니아 군주로 선언했다.

바토리가 패배하자 1613년에 콜로지바르에서 열린 의회는 베틀렌을 군주로 선포했다. 베틀렌은 트란실바니아의 예술과 과학을 증진하기 위해 애썼고 바이셈부르크(카를스부르크) 아카데미를 세웠다.

30년전쟁(1618~48) 때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페르디난트 2세가 1618년 보헤미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느라 여념이 없는 틈을 타서 베틀렌은 헝가리 북부 대부분을 장악하고, 포조니(지금의 슬로바키아의 브라티슬라바)를 점령했으며, 헝가리 국왕 이슈트반의 왕관을 빼앗았다.

베틀렌과 페르디난트의 협상이 결렬된 뒤 베스테르체바뇨에서 열린 의회는 베틀렌을 헝가리 국왕으로 선출했다(1620. 8. 20). 그러나 베틀렌은 가톨릭교도인 헝가리 귀족들이 프로테스탄트인 자신을 국왕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리라는 것을 깨닫고 왕위를 거부했다. 이 시점에서 베틀렌과 페르디난트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 프리드리히(이른바 겨울 왕)를 지지하는 보헤미아인들이 1620년에 프라하 근처의 빌라호라 산에서 패배한 뒤 베틀렌은 페르디난트와 평화협정을 맺었으며, 이듬해에는 헝가리 왕위를 정식으로 포기하고 이스트반의 왕관을 반환하기로 동의했다.

페르디난트 2세는 1606년에 맺은 빈 조약을 재확인하고, 프로테스탄트에게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기로 동의했으며, 한편으로 6개월 이내에 의회를 소집하겠다고 약속했다.

베틀렌은 신성 로마 제국 휘하의 군주가 되었고 헝가리 북동부 지역의 7개 국가를 확보했다. 그러나 베틀렌은 페르디난트를 헝가리에서 쫓아내고 프로테스탄트인 친구 프리드리히를 다시 보헤미아 왕위에 앉히겠다는 목표를 단념하지 않았다. 그는 1623년에 다시 페르디난트와 전쟁을 시작했는데 보헤미아에서는 성공을 거두었지만 프로테스탄트측 군대가 독일에서 패배한 뒤로는 전쟁을 계속할 수가 없었다.

그후에 맺어진 1624년의 빈 조약은 근본적으로 1621년에 페르디난트와 맺은 조약의 조항들을 재확인한 데 지나지 않았다.

그후 베틀렌은 투르크인을 헝가리와 유럽에서 쫓아내기 위해 동부동맹을 맺으려는 계획에 전념했다. 그는 페르디난트의 지원을 얻을 목적으로 그의 딸과 결혼하려고 애썼지만 거절당했다. 그러자 그는 독일 제후들과 손잡고 1626년에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고 있는 헝가리를 다시 점령했지만 가톨릭교도와 제국 군대가 승리하자 1626년에 포조니 조약으로 다시 한번 페르디난트와 타협할 수밖에 없었다.

포조니 조약을 맺은 뒤 베틀렌은 폴란드인 및 스웨덴 왕 구스타프 2세 아돌프와 교섭을 벌이게 되었지만 건강이 점점 나빠졌기 때문에 더 이상의 군사 행동은 취하지 못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베틀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