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베트남과 한국의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베트남 통일 전 남베트남과의 교류를 시작으로 1964년 본격적으로 진행됐다가 1975년 관계가 끊어졌다. 남베트남이 무너지고 난 후 1992년 수교에 합의해 다시 외교를 시작했다. 베트남 주재 한국 대사관은 1992년 공식업무를 개시했고, 한국 주재 베트남 대사관도 1992년 설립됐다. 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 대상국이자 제1위 아세안 교역 대상국으로 주요 수출품은 원부자재 및 자본재, 전자, 섬유, 봉제 관련 물품이다. 서울에 있는 사단법인 한·베트남 친선협회 등은 베트남의 주요 대학들과 교육 및 문화교류를 활발히 하고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베트남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외교
베트남이 통일되기 전 한국은 남베트남과, 북한은 북베트남과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한국은 그 후 1964년 베트남 전쟁에 병력을 파견하기 시작해 1975년 사이공이 함락되기 직전까지 남베트남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군사적인 면에서는 1964년 9월 의무중대 파견 이래 맹호·청룡 등 한국 전투사단이 파견돼 한때 남베트남 파견 한국군 장병수가 4만 명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1973년 파리 휴전협정이 조인되면서 모두 철수했다.
남베트남 주재 한국대사관은 사이공이 함락되기 직전인 1975년 4월 29일 폐쇄됐고 미처 철수하지 못했던 일부 공관원들과 교민들은 1976~80년에 걸쳐 한국으로 송환됐다. 그 밖에도 베트남 전쟁 특수를 타고 한국 기업의 진출이 눈에 띄게 활발해졌으며 남베트남 파견 한국인 문제와 국제결혼으로 인한 한국인·남베트남인의 혼혈아 문제가 대두되기도 했다.
남베트남 정권이 무너지고 베트남이 사회주의 국가로 통일된 후 북한은 이전 북베트남 시절에 맺었던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베트남 통일 후 17년 만인 1992년 12월 22일 수교에 합의했다. 한국에는 남베트남 패망 후 공산 베트남에서 탈출한 선상난민들을 수용하기 위한 시설이 부산에 설치돼 있었으나 폐쇄됐다.
2000년 이후 포괄적인 동반자 관계를 맺기 시작하면서 2003년 판반카이 총리가 방한하고, 2005년에는 이해찬 총리가 베트남에 방문하는 등 본격적인 교류가 진행됐다. 2009년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국빈으로 방문하면서 FTA에 관한 논의를 시작했다. 2014년 한국-베트남 FTA가 실질적으로 타결되고 2015년 한국-베트남 FTA가 발효되면서 무역관계도 강화됐다. 2017년 한국-베트남 수교가 25주년을 맞이하면서 11월 11일 호치민시에서 호치민-경주 세계문화엑스포가 개최됐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1992년 한국-베트남 국교수립 이후 양국 간 교역 규모는 90배 이상 성장해 2016년에는 470억 불을 달성했다. 2017년 기준 베트남은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한국의 3위 수출대상국이자 제1위 아세안 교역 대상국이다. 수요 수출품은 원자재와 자본재로 그 비중이 월등히 높고, 전자, 섬유, 봉제 관련 품목이 그 뒤를 잇는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액은 492억 6,473만 달러이며, 대베트남 수입액은 199억 4,349만 달러이다.
2014년 한국-베트남 FTA 협상 실질타결을 공동 선언해 2015년 한국-베트남 FTA가 발효됐다. 이 밖에도 정부간 경제 및 기술 협력에 관한 협정(1993), 직업 훈련사업의 시행에 관한 약정(1994), 과학 및 기술 협력에 관한 협정(1995), 원자력 협정(1996), 외교관 관용여권 비자 면제 협정(1998), 관광분야 협력에 관한 협정(2002), 투자 증진 및 보호에 관한 협정(2003), 교육협력 약정(2005), 한베 원자력 개발 협력 약정(2006), 항공협정 개정을 위한 교환 각서(2008), 관광협력에 관한 양해각서(2010), 교육협력 양해각서(2015) 등이 체결돼 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한국-베트남 친선협회, 한국-베트남 재단, 한국-베트남 문화교류센터, 한아세안센터 등을 통해 양국간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베트남에는 175,652명의 재외동포가 있다. 한국에는 2023년 기준 201,224명의 베트남 국적 등록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코트라
- ・ 외교부
- ・ 사단법인 한국-베트남 친선협회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베트남과 한국과의 관계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