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09. 2. 3, 프랑스 파리 |
---|---|
사망 | 1943. 8. 24, 잉글랜드 켄트 애슈퍼드 |
국적 | 프랑스 |
요약 프랑스의 사상가·사회운동가. 저서는 <중력과 은총>, <신을 기다리며> 등이 있다. 30대까지 학교에서 철학 교사로 근무했다. 노동자의 생활과 노동운동에 큰 관심을 가졌으며, 자동차 공장에 들어가 여성 노동자들과 함께 생활하기도 했다. 1930년대 말 신비주의적 체험을 한 뒤엔 종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실존주의적 그리스도교를 바탕으로 인간을 구제하고자 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다.
유대계 프랑스인 신비주의자·사회철학자. 제2차 세계대전 때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한 활동가였으며, 시몬 베유가 죽은 뒤 출판된 저서들은 프랑스와 영국의 사회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적으로 조숙했던 시몬 베유는 어린시절부터 남다른 사회의식을 지녔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5세 때 베유는 전선에서 싸우는 프랑스 병사들이 설탕을 먹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로 설탕을 먹지 않았고, 6세 때는 프랑스의 극작가이자 시인 장 라신(1639~99)의 글을 인용할 정도였다. 철학·고전문헌학·과학 등을 공부했을 뿐 아니라, 필요할 때마다 계속 새로운 학문을 배워나갔다.
르 퓌(1931~32), 오세르(1932~33), 루안(1933~34), 부르즈(1935~36), 생 캉탱(1937~38) 등 여러 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이처럼 자주 직장을 바꾼 것은 시위를 하거나 가난한 사람들보다 더 많이 먹기를 거부하거나 좌익잡지에 글을 쓰는 등 학교업무가 아닌 과외활동으로 교육위원회와 자주 마찰을 빚었기 때문이다.
시몬 베유는 힘겨운 공장노동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1934~35년에는 자동차 공장에서 일하면서 여성 노동자들과 함께 생활했다.
기계가 동료 노동자들을 정신적으로 황폐화시키는 것을 보고 사회 혁명에 대한 모든 희망을 버렸고, 늑막염에 걸려 자동차 공장의 일자리도 포기해야 했다. 1936년 스페인의 사라고사 근처에서 스페인 내란에 참전하기 위해 훈련하고 있는 무정부주의자 부대에 가담했지만 평화주의를 지지하는 시몬 베유로서는 도저히 무기를 들 수 없어 부대의 취사병이 되었다. 그러나 끓는 기름에 심한 화상을 입은 뒤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포르투갈로 갔다.
그 직후 시몬 베유는 최초의 신비스런 체험을 했다.
그결과 자신의 사회적 관심을 '신(神)의 대리'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유대인 태생이었지만 역설로 가득 차 있는 시몬 베유의 종교적 저술 때문에 몇몇 비평가들은 그녀를 거의 반(反)유대적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베유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육제도가 지닌 억압적 성격에도 반대했고, 쇠렌 키에르케고르가 제시한 실존주의적 그리스도교를 지향했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이 파리를 점령하자, 베유는 마르세유로 가서 〈카예 뒤 쉬드 Cahiers du Sud〉 등 항독(抗獨) 레지스탕스와 관련된 여러 잡지에 글을 썼다.
1942년 부모와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지만,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가담하기 위해 다시 영국으로 갔다. 그러나 프랑스 레지스탕스 지도자들은 낙하산을 타고 독일이 점령한 프랑스에 침투하고 싶다는 시몬 베유의 소망을 저버렸다. 베유의 죽음은 공식적으로는 자살로 발표되었지만, 독일에 점령당한 프랑스 동포들과 함께 고통을 나누기 위해 스스로 굶주린 결과로 생긴 일이었다.
메리 매카시가 번역해 1945년 〈폴리틱스 Politics〉지(誌)에 발표한 〈일리아스:힘의 시 The Iliad:or, The Poem of Force〉는 영역된 시몬 베유의 최초의 작품이었다. 주저 〈중력과 은총 La Pesanteur et la grâce〉(1947)은 그리스도의 지배에 관한 베유의 의식을 보여주는데, 이 세상 모든 것은 마치 중력을 받은 것처럼 쓰러져 있으며 신의 은총을 받아야만 일어설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시몬 베유의 저서 가운데 영어로 번역된 것은 정신적 자서전 〈신을 기다리며 Waiting for God〉(1951), 공장에서 겪은 일을 다룬 〈뿌리에 대한 갈망 The Need for Roots〉(1952), 〈고대 그리스인들에 나타난 그리스도교의 징후 Intimations of Christianity Among the Ancient Greeks〉(1957), 〈비망록 Notebooks〉(2권, 1956) 등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철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