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르히톨트

다른 표기 언어 Leopold (Anton Johann Sigismund Joseph Korsinus Ferdinand), Graf(von) Berchtold
요약 테이블
출생 1863. 4. 18, 오스트리아 빈
사망 1942. 11. 21, 헝가리 체프레그 근처
국적 오스트리아·헝가리

요약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무장관.

그가 세르비아에 최후 통첩을 보낸 뒤(1914. 7. 23)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1914. 8. 1). 헝가리와 모라비아에 많은 땅을 갖고 있는 부유한 지주인 베르히톨트는 결혼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의 하나가 되었다.

1893년 외교관이 된 그는 파리와 런던에서 근무하다가 1906년 러시아 주재 대사로 임명되었다. 알로이스 렉사 폰 에렌탈 백작이 죽은 뒤, 1912년 2월 19일 베르히톨트는 마지못해 그뒤를 이어 외무장관이 되었다. 얼마 후 그는 참모총장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백작의 영향을 받게 되었지만, 왕위추정 상속인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그의 행동을 제한했다.

제1차 발칸 전쟁(1912. 10~12) 초기에 그는 영토를 현재 상태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인 노력을 계속했고, 종전 후에는 세르비아가 아드리아 해로 통하는 회랑을 얻지 못하게 방해했다. 그뒤 그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슬라브족을 포함한 모든 남부 슬라브족으로 구성된 국가를 세우려는 세르비아의 야심에 직면했다. 그의 우유부단한 태도는 오스트리아와 세르비아 사이의 긴장을 더욱 악화시켜,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1914년 6월 28일 보스니아의 사라예보에서 보스니아의 세르비아인에게 암살당하는 결과를 빚었다.

수년 동안 세르비아에 대한 예방전쟁을 촉구했던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의 주장에 고무된 베르히톨트는 합동 각료 회의의 동의를 얻어, 세르비아 정부가 거부할 것이 확실한 조항을 담은 최후 통첩을 보내기로 결정했다. 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무조건 지지한다는 '자유행동권'을 약속한 독일에는 이 사실을 알렸으나 이탈리아에는 통보하지 않았다. 만약 그렇게 할 경우 이탈리아 당국이 이 사실을 러시아에 보고하고 그 결과 러시아가 세르비아 지원을 위한 전시동원체제를 서두를 것으로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기에 베르히톨트는 이런 가능성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전쟁 발발 후 이탈리아가 단지 '우호적 중립'을 지키는 대가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영토를 요구하자, 베르히톨트는 1915년 1월 13일 사임할 수밖에 없었다. 그후 그는 법원에서 고위직을 맡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베르히톨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