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르가

다른 표기 언어 Giovanni Verga
요약 테이블
출생 1840. 9. 2, 시칠리아 카타니아
사망 1922. 1. 27, 카타니아
국적 이탈리아

요약 이탈리아의 소설가·단편작가·극작가.

특히 소설가로서 이탈리아 사실주의 운동의 대표적 인물이다(→ 베리스모). 뒤늦게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나 현대 비평가들은 그를 가장 뛰어난 이탈리아의 소설가로 평가하고 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대의 이탈리아 작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는데, 신사실주의 영화운동의 대표자격인 루키노 비스콘티의 영화 〈흔들리는 대지 Terra trema〉(1948)는 그의 소설 〈말라볼리아가(家)의 사람들 I malavoglia〉을 원작으로 한 것이다. 시칠리아에서 지주의 아들로 태어나 1869년 피렌체로 갔다가 뒤에는 밀라노에서 지냈다.

그곳에서 쓴 작품들은 다른 작가들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1893년 다시 카타니아로 돌아왔다.

역사소설과 애국소설을 쓰기 시작하면서 〈에바 Eva〉(1873)·〈왕의 호랑이 Tigre reale〉(1873)·〈에로스 Eros〉(1875)처럼 심리적인 관점에서 낭만적인 소재를 다룬 소설도 썼다. 훗날 베르가는 이같은 자신의 감상적인 작품에 대해 '고상함과 불륜에 관한' 소설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계속해서 자신의 능력을 키워 19세기말에는 가장 뛰어난 유럽 소설가의 대열에 끼게 되었으며 수년 동안 여러 편의 걸작을 내놓았다.

이때 나온 작품으로 단편집 〈야외생활 Vita dei campi〉(1880)과 〈시칠리아의 짤막한 이야기 Novelle rusticane〉(1883), 걸작소설 〈말라볼리아가의 사람들〉(1881)과 〈마스트로 돈 제수알도 Mastro-don Gesualdo〉(1889), 피에트로 마스카니가 1890년 오페라로 만들어 선풍적인 인기를 끈 희곡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Cavalleria rusticana〉(1884) 등이 있다.

문체는 간결, 정확하고 인간 정서의 강렬함이 돋보이며 이는 서정적 사실주의를 이루는 요소가 된다. 특히 시칠리아의 가난한 농부나 어부들의 삶에 대한 사실주의적 묘사는 탁월하며 이들을 향한 깊은 애정으로 이탈리아 향토문학 운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작품은 주로 물질적으로 더 나은 삶을 위해 투쟁하는 인간의 모습을 다루고 있으며 이것을 인간의 본질적인 모습으로 보았다.

D. H. 로렌스는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마스트로 돈 제수알도〉 등의 몇몇 작품을 영역했으며 그밖에 에릭 모스바커가 〈말라볼리아가의 사람들〉을 영어로 옮긴 〈The House by the Medlar Tree〉(1953)가 유명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베르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