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범행

다른 표기 언어 brahmacarya , 梵行

요약 성적 순결을 수행하는 불교의 관행.

그 의미는 정통적인 힌두교와 불교에서 다소 다르다. 힌두교에서는 고대로부터 인생을 4단계로 나누어 그 첫번째 단계를 범행기라고 하며 이 기간에는 몸을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스승 밑에서 베다의 학습에 전념해야 했다.

'범행'이라는 말은 이 기간의 청정한 생활을 뜻했던 것이다. 이러한 의미를 지니고 있던 범행은 불교와 같은 출가 중심의 종교에서는 평생에 걸친 순결을 가리키게 되었고, 위반하면 교단으로부터의 추방이라는 중죄에 처해지는 수도생활상의 기본 규범이 되었다. 불교에서 범행은 좁은 의미로는 성적 순결을 지키는 것을 의미하지만, 보다 넓게는 출가자뿐 아니라 재가자까지도 괴로움을 끝내고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덕적 삶을 영위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가자들은 살아 있는 것은 무엇이든 죽이지 말고, 남의 것을 훔치지 말며, 부도덕한 성관계를 맺지 말고, 거짓말을 하지 말며, 취하게 하는 음료는 마시지 말라는 가르침을 받는다. 출가자들(비구·비구니·사미·사미니)은 이러한 계율을 지켜야 할 뿐만 아니라, 3번째 계율을 보다 엄격히 하여 완전한 성적 순결을 지킬 것, 정오 이후에는 식사를 하지 않을 것, 음악이나 연극과 같은 오락을 철저히 금할 것, 보석이나 화장품으로 치장하지 말 것, 매우 간소한 침대에서만 잘 것, 금이나 은과 같은 보시는 받지 말 것 등의 계율도 지켜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범행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