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벌목

다른 표기 언어 Hymenoptera

요약 곤충강(昆蟲綱 Insecta)에서 3번째로 큰 목(目).

벌목(Hymenoptera)

ⓒ Hardyplants/wikipedia | Public Domain

벌·개미·잎벌류·맵시벌류·수중다리좀벌류·호리허리벌류·송곳벌류 등의 곤충 11만 종(種) 이상이 여기에 포함된다.

식물의 꽃가루받이를 일으키는 곤충과 기생곤충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벌목은 아마도 곤충강에서 가장 중요한 목일 것이다. 극지방을 제외한 전세계에 분포하는데, 특히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많이 서식한다. 최초의 벌목 곤충은 페름기말(약 2억 2,500만 년 전)에 처음으로 나타나 쥐라기 중엽(약 1억 5,000만 년 전)까지 생존했고, 최초의 벌은 약 2,600만 년 전에 시작된 마이오세 동안에 나타나 2,000만 년 간 존재했다.

몸의 크기가 단지 0.21㎜ 밖에 안 되는 미마리다이과(―科 Mymaridae)에서부터 5㎝가 넘는 펠레키니다이과(Pelecinidae)까지 다양하지만 이 목의 대부분은 2.5㎝가 채 안 된다.

벌목은 잎벌류·송곳벌류 등의 넓적허리벌아목(―亞目 Symphyta)과 호리허리벌아목(Apocrita)으로 나뉘는데, 호리허리벌아목은 수중다리좀벌상과(―上科 Chalcoidea)·혹벌상과(Cynipoidea)·배벌상과(Scolioidea:개미와 기생 호리허리벌류)·말벌상과(Vespoidea:쌍살벌 등)·꿀벌상과(Apoidea:벌) 등 여러 상과로 구성된다.

다른 곤충처럼 성충의 몸은 3부분, 즉 머리·가슴·배로 구성되며 대부분은 가는 허리를 중심으로 가슴과 배가 구분된다.

대개 막상(膜狀)의 날개를 2쌍 가지고 있으며 앞날개가 크다. 뒷날개의 앞끝을 따라 난 작은 갈고리에 의해 날개가 서로 맞물려 있다. 구기(口器)는 물거나 빠는 데 알맞게 되어 있고, 2개의 커다란 겹눈과 더불어 머리 꼭대기에 홑눈이 있다(대개 3개가 있음). 더듬이는 구조가 매우 다양한데, 보통 적당한 길이지만 경우에 따라 몸보다 길다.

여러 벌이 꽃가루 운반장치인 꽃가루솔(scopa)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긴 털로 이루어진 바구니 모양의 그물눈[網目] 구조로 다리나 배의 복측(腹側)에 있다. 산란기(産卵器)는 배 끝에 있으며, 잎벌류에서는 이것이 톱처럼 생겨 산란 장소인 식물을 기다랗게 베는 데 알맞고 기타 벌목 곤충들에서는 이것이 찌르거나 쏘는 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많은 벌은 배의 복측에 밀랍선(wax gland)이 있는데, 왁스(wax)는 새끼가 살아가고 먹이를 저장할 집을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벌목의 시각과 후각은 곤충강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 있다. 은 자외선을 위시한 여러 가지 파장의 빛에 민감하고, 태양(날이 흐려도 편광에 대한 감수성이 있음)과 여러 가지 가시적(可視的) 표지물로 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

후각은 경비벌에 의해 쓰이는데, 둥지로 들어오는 벌 한마리 한마리가 확실히 그 집단 소속인지 냄새로 점검한다. 개미는 냄새표지(scent mark)를 남겨 둥지로 돌아가는 길을 찾는다. 많은 벌목 곤충들은 짝지을 상대방을 냄새로 찾는다. 유충의 몸은 머리, 3마디로 이루어진 가슴, 9~10마디로 이루어진 배로 구성되어 있다. 넓적허리아목의 유충들은 모습이 털애벌레처럼 생겨서 6개의 다리가 가슴에 있고, 그보다 더 많은 다리가 배에 있는데 재목이나 줄기에 구멍을 뚫는 종류는 예외적으로 배에 다리가 없다. 호리허리벌아목의 유충들은 다리가 없고 구더기처럼 생겼다.

벌과 호리허리벌류는 꽃피는식물이 있는 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개미는 추운 기후에 사는 종은 얼마 안되나, 열대지방에는 아주 풍부하고 다양하게 서식하고 있다. 잎벌류나 벌류처럼 식물을 먹는 종이 있는가 하면, 여러 호리허리벌류나 맵시벌류처럼 다른 곤충에 기생하는 것들도 있다. 가시방패개미아과(―亞科 Dorylinae)의 개미들은 동물이든 식물이든 발견되는 대로 먹는다. 다수의 호리허리벌류와 잎벌류, 몇몇 벌 등 일부 무리는 단독생활을 하지만, 개미와 다수의 고등한 벌들은 잘 알려진 사회성 곤충들이다. 단독 생활하는 호리허리벌류는 약 2만 종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대부분이 마비시킨 곤충이나 거미를 식량으로 사용한다.

이들 먹이를 각 방에 하나씩 놓아 두므로 그 곳에 있는 유충은 이미 식량이 준비된 상태에서 부화되는 셈이다. 맵시벌상과(Ichneumonoidea)의 암컷은 여러 곤충 숙주의 유충 몸 위나 내부에 알을 산란한다.

사회성 곤충은 각 개체들의 임무가 뚜렷하며, 개체는 그 집단에서 이탈하면 오래 살지 못한다. 고등한 종의 군집은 생식적·행동적으로 여러 가지 부류로 구성되는데, 대부분의 일꾼들은 생식능력이 없는 암컷이고 수컷은 매년 생식기에만 잠깐 필요한 존재이다.

일꾼인 암컷은 둥지를 짓고 방어하며 새끼를 보살피고 먹인다. 이들은 집짓는 개체, 병정, 집안일하는 개체, 바깥일하는 개체 등 형태적으로 분화(分化)한 종류와 그렇지 않은 종류가 있는데, 꿀벌의 경우에는 형태가 다르지 않으며 분업은 형태가 아닌 연령에 의존한다.

꿀벌은 의사 소통법이 잘 발달해 추는 듯한 움직임으로 같은 벌집에서 사는 벌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춤추는 시간과 각도, 그리고 방향으로 새로운 먹이가 있는 거리와 방향은 물론 질과 양까지 알려준다.

벌집 안이 아주 붐비면 구(舊)여왕은 그 집단의 절반을 이끌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물색하는데, 먼저 수색대를 보내 상황을 살피게 한다. 이들은 돌아온 후 춤을 추어 발견 장소의 위치와 가능성을 보고한다.

여러 종류의 벌목 곤충은 인간에게 중요하다. 벌을 비롯한 몇몇 종은 식물의 꽃가루받이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꿀벌은 오랫동안 꿀과 봉랍(蜂蠟) 채취를 위해 사육되어왔다. 기생성 종류는 해충 구제(驅除)에 요긴한데 이를테면, 나무숲벌류(wood wasps)는 나무를 뚫는 딱정벌레에, 좀벌류는 깍지벌레에, 굼벵이벌류는 왜콩풍뎅이에 각각 기생한다.

낙엽송테두리잎벌(Pristiphora erichsonii)과 길피니아속(―屬 Gilphinia)의 곤충들, 나무벌과의 케푸스 킹크투스 등은 벌목의 얼마 되지 않는 중요한 해충에 속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절지동물

절지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벌목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