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백일홍

다른 표기 언어 Zinnia elegans , 百日紅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국화과 > 백일홍속
원산지 북아메리카 (멕시코)
서식지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참흙
크기 약 50cm ~ 90cm
학명 Zinnia elegans
꽃말 그리움, 수다

요약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원예식물. 원래 멕시코의 잡초였으나 원예종으로 개량·보급되었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참흙에서 잘 자란다. 크기는 약 50~90cm이다. 꽃은 6~10월에 줄기 끝에서 지름이 5~15㎝쯤 되는 두상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100일 정도 피므로 백일홍이라 한다. 조선시대에 씌어진 기록에 나오는 초백일홍이란 식물이 백일홍과 같은 것이라 여기고 있으나 언제부터 한국에서 심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배롱나무를 나무백일홍이라 부르기도 하나 백일홍과 배롱나무는 다른 식물이다.

백일홍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꽃의 크기는 5∼15cm이고 빛깔은 진홍색, 다홍색, 노란색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가장자리에 암꽃인 혀 모양 꽃이 8~20개가 핀다. 가운데 양성 꽃인 꽃부리 끝이 5갈래로 갈라진 관 모양의 꽃이 핀다. 잎은 길이 4~6cm, 폭 3~5cm이다.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은 심장 모양이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독일사람 진이 발견하고 인도, 프랑스, 영국 등의 화훼가들이 개량하여 현대에 이르렀다. 조선시대에 씌어진 〈물보(物譜)〉라는 책에 초백일홍(草百日紅)이란 식물 이름이 나오는데, 이것이 백일홍과 같은 것이라 여기고 있으나 언제부터 우리나라에서 심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배롱나무를 나무백일홍[木百日紅]이라 부르기도 하고 특히 그 꽃만을 가르켜 백일홍이라고 하기도 하나 백일홍과 배롱나무는 다른 식물이다.

형태

꽃이 100일 정도 피므로 백일홍이라 한다. 높이는 60~90cm까지 자라고 줄기는 곧추서기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모양이며 입자루가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여 털이 나서 거칠다. 두상화로 줄기 끝에 달려 피는 꽃의 색은 여러가지이며 6~10월에 걸쳐 계속 핀다. 꽃의 색이 다양하고 피는 기간이 길어서 관상용 원예식물로 적합하다.

생태

따뜻한 곳에서 자라던 식물이므로 추운 것은 싫어하나 무더위에는 잘 견딘다.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참흙(모래와 찰흙)에서 잘 자라며, 배수가 나쁘면 뿌리가 쉽게 썩으므로 화분에 심을 때나 여름철에는 배수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종류

재배하는 종류들로는 백일홍 이외에도 꽃차례의 지름이 작은 좁은잎백일홍과 멕시코백일홍이 있다. 백일홍은 꽃의 크기와 생김새 및 색에 따라 여러 품종으로 나뉘며, 꽃의 크기가 15㎝ 정도 되는 것을 대륜계(大輪系), 4~5㎝ 정도 되는 것을 중륜계, 그리고 3㎝ 정도 되는 것을 소륜계라 하고, 꽃의 생김새에 따라 다알리아처럼 생긴 다알리아형, 선인장처럼 생긴 캑터스형, 꽃에 무늬가 있는 무늬천엽형, 꽃이 공처럼 둥그렇게 달리는 폼폰형으로 나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36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백일홍
다른 백과사전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백일홍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