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배드민턴

다른 표기 언어 badminton

요약 1873년경 영국의 보퍼트 공작의 영지인 배드민턴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해서 배드민턴이라 하였다.
1934년 국제 배드민턴 연맹이 조직되었다. 여러 나라에서 전국 규모의 대회가 열리는데, 이중 전영 배드민턴 선수권대회가 가장 유명하다. 국제대회로 남자단체경기인 토머스 컵과 여자단체경기인 유버 컵이 있다. 배드민턴은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일본·덴마크 등에서 인기가 높다.
셔틀콕은 작은 코르크 반구체에 14~16개의 깃털을 박은 것으로 무게는 약 5g이다. 셔틀콕의 코스는 산들바람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로 실내에서 경기를 한다. 코트 크기는 길이 13.4m, 너비 5.2m이고, 복식일 경우 너비가 6m로 넓어진다. 코트 중앙에는 1.5m 높이의 네트가 설치되어 있다. 경기는 코트 안에서 발리만으로 이루어진다.

배드민턴

ⓒ Jari Hindstroem/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셔틀콕은 작은 코르크 반구체에 14~16개의 깃털을 박은 것으로 무게는 약 5g이다. 깃털이 달린 나일론 셔틀콕도 사용된다. 이 경기는 1873년경 영국의 보퍼트 공작의 영지인 배드민턴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해서 배드민턴이라고 부른다. 또는 옛날 어린이들의 놀이인 배틀도어 셔틀콕에서 유래했을지도 모른다. 이것은 인도에 주둔한 영국군 장교들이 야외에서 즐기면서 비로소 널리 보급되었다. 1899년 처음으로 전영(全英) 배드민턴 선수권대회가 비공식으로 열렸다.

1934년 배드민턴을 관장하는 세계기구인 국제 배드민턴 연맹(IBF)이 조직되었다. 본부는 영국 글로스터셔 주 첼튼엄에 있다. 여러 나라에서 많은 지방대회, 전국 규모의 대회, 지역대회가 열린다. 이런 시합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전영 배드민턴 선수권대회이다. 그밖에 널리 알려진 국제대회로는 남자단체경기인 토머스 컵(1939 기증)과 여자단체경기인 유버 컵(1956 기증)이 있다. 배드민턴은 특히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일본·덴마크 등에서 인기가 높다.

배드민턴은 가벼운 산들바람도 셔틀콕의 코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개 실내에서 한다. 코트 크기는 단식일 경우 길이가 13.4m, 너비가 5.2m이고, 복식일 경우에는 너비가 6m로 넓어진다. 코트 중앙에는 1.5m 높이의 네트가 코트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국제대회에서는 코트 천장의 높이가 최소한 7.9m는 되어야 하지만 많은 나라에서는 대부분 코트 천장의 높이를 9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코트 둘레로 1.2m 너비의 빈 공간이 필요하다. 경기는 코트 안에서 발리(셔틀콕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그물 너머로 주고받는 것)만으로 이루어진다.

한국의 배드민턴

1957년 11월 15일 이종구 외 34명의 창립 발기인이 모여 협회의 정간과 경기규정을 제정하면서 대한 배드민턴 협회가 정식 출범했다. 12월에는 처음으로 전국남녀 배드민턴 대회를 개최했으며 1959년에는 아시아 연맹에 가입했다.

1961년 10월 15일에는 제42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시범경기를 가졌고, 이듬해 1월 25일에는 대한 배드민턴 협회가 대한체육회의 산하단체가 되었다. 1962년 11월 제5회 아시아 경기대회에 남녀 선수 각각 2명이 참가하여 여자부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68년 10월에는 전국 배드민턴 지도자 강습회를 개최했다. 1970년 12월에는 제6회 방콕 아시아 경기대회에 여자선수 4명이 참가하여 3위에 입상했고, 이듬해 8월에는 자카르타에서의 제3회 ABC 선수권대회에서 여자 단식 준우승과 복식 3위를 기록했다. 1976년 8월에는 제4회 아시아 선수권대회에 남녀 각각 2명이 참가하여 여자 단식에서 3위에 올랐다. 1978년 11월 제2회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대회에도 3명의 여자선수가 참가했고 12월에 열린 제8회 아시아 경기대회에는 4명의 여자선수만 참가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세계무대에서도 크게 두각을 나타냈다. 1981년 1월에는 일본 오픈 배드민턴 선수권대회에 참가한 황선애가 여자 단식에서 우승하고 김연자가 3위를 기록했다. 또 3월에 열린 제71회 전영선수권대회에서는 여자 단식에서 황선애가 우승했고, 여자 복식에서 김연자·유상희 조가 3위로 입상했다. 1982년 3월 제30회 덴마크 오픈 선수권대회에서는 남자 복식에서 이은구·박주봉 조가 우승했고 여자 복식의 황선애·김연자 조도 3위로 입상했다. 1982년 11월 제9회 아시아 경기대회의 여자 복식에서 우승과 준우승, 여자 단식과 남자 단식에서 각각 3위와 남자 복식에서 3위를 차지했고, 1983년 8월 제3회 월드 컵 선수권대회의 남자복식에서 김문수·박주봉 조가 우승했고, 여자복식에서 김연자·유상희 조가 3위를 차지했다.

1985년 3월에는 제33회 덴마크 오픈 선수권대회에서 김연자·유상희 조가 여자 복식에서 우승, 황혜영·정소영 조가 3위에 입상하고 남자 단식에서 성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다. 1986년 9월에 열린 서울 아시아 경기대회에서 남자 단체 우승과 여자 단체 3위, 11월에 열린 제6회 자카르타 월드 컵 선수권대회에서는 남녀 복식에서 각각 3위와 여자 단식 3위에 입상했다. 1987년 9월에는 제7회 월드 컵 선수권대회에서 남자 복식 우승, 여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3위를 기록했다.

1988년 제24회 서울 올림픽 대회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어 여자 단식·복식과 혼합 복식 1위, 남자 복식 2위를 거두었고, 1989년 5월 제6회 세계개인선수권대회에서는 혼합 복식에서 박주봉·정명희 조가 1위를 하고, 여자 복식에서도 정명희·황혜영 조가 2위를 차지했다. 마침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회에서 남자 복식의 박주봉·김문수 조와 여자 복식 황혜영·정소영 조가 금메달을, 여자 단식의 방수현이 은메달을 땄다. 또한 1996년 제26회 애틀랜타 올림픽 대회에서 금메달 2개, 2004년 제28회 아테네 올림픽 대회에서 금메달 1개를 따내며 배드민턴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스포츠 기록:배드민턴

배드민턴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배드민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